분류 전체보기 (174)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Ping, Curl, telnet 서버끼리 통신하는 작업을 하다가 방화벽이 뚫려 있는지 확인할 일이 생겼다. ping도 쓰고 curl도 쓰는데 둘 차이가 뭔지 갑자기 궁금해져서 찾아봤다. Ping ping [대상 목적지 ip] 탁구 ping pong의 줄임말인 줄 알았는데(그런 의미도 있다고 하지만), Packet Internet Groper의 약자라고 한다...! 확인할 IP로 인터넷 패킷을 전송하고 대상이 보낸 응답을 분석하는 방식이다. 실제 ping google.com을 쳐보면 packets 전송상태를 나타내 준다. ping은 ICMP 프로토콜(TCP/IP에서 IP 패킷을 처리할 때 발생되는 문제를 알려주는 프로토콜)을 사용하는데 이 프로토콜은 OSI 7 계층의 3 layer에 해당하는 Network layer에 속하는 프로토콜을 .. [Tibero] 정기점검 정리 목차 •0. 정기점검 목적 •1. TSM Info 1.1 Shared memory size 1.2 Shared Pool size 1.3 DB cache size 1.4 Log Buffer size • 2. DB performance 2.1 Buffer Cache Hit Ratio 2.2 SQL Cache Hit Ratio 2.3 Dictionary Cache Hit Ratio 2.4 Shared Cache Free Space •3. space usage 3.1 Table space free space 3.2 Undo segment usage •4. DISK I/O 4.1 File I/O contention 4.2 Online Redo Log switch Count •5. current session in.. [Tibero] Log 확인하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대부분의 시스템들은 사용자가 해당 시스템의 운영 상황을 여러 관점에서 파악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모니터링 정보들을 파일 형태로 실시간 저장한다. 티베로의 경우 제공하는 모니터링 파일들을 매개변수 파일에 XXXX_XXXX_DEST 형태로 저장하므로 다음과 같이 V$PARAMETERS를 조회하여 모니터링 파일들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1 SELECT * FROM V$PARAMETERS WHERE NAME LIKE '%DEST'; tibero6 FS04 기준 16개가 검색이 되는데 대부분은 특정 장애 상황 발생 시 제조사 엔지니어와 원활한 소통을 위해 종류 및 경로 정도만 알고 있으면 되지만 다음에 소개하는 2개의 파일은 데이터베이스 관리자가 안정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기 위해 반드.. [Linux] Cannot bind socket error(포트 이미 사용 중) 해결법 오류메시지: cannot bind socket [IP주소:포트번호] 원인: 바인딩하고자하는 포트를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 중 해결방법: 1) 포트번호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 netstat -np | grep 포트번호 2)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해당 프로세스 번호를 알았다면 프로세스를 Kill합니다. $ ps -ef // 예) 프로세스 확인 $ kill -9 프로세스ID // 예) kill -9 2020 3) 프로세스를 죽여도 같은 현상이라면 네트워크 자원을 Kill하고 해제합니다. 자원을 해제하는데 길게는 몇 분까지도 소요됩니다. $ fuser -k -n 프로토콜 포트번호 예1) fuser -k -n tcp 1001 예2) fuser -k 1001/tcp 만약 'f.. [Linux] 프로세스 강제 종료, 먹통 일 떄 강제 종료하기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코딩 문제, 프로세스 문제 등으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해야 할 떄가 있다. 1. 터미널에서 프로세스 종료하기 터미널에서 Ctrl + c 키를 누르면 터미널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2. 프로세스 강제 종료를 했는데 프로세스 종료가 안 될때 터미널에서 Ctrl + c 키를 눌렀는데 터미널에 아무 반응이 없을 때에는 Ctrl + z 키를 눌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지하자 그 다음 ps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동작 중인 프로세스의 ID인 PID를 확인하자. 저의 경우는 tbsql이 먹통이라 tbsql의 PID인 2572를 가지고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인 kill -9 2572 를 입력하고 다시 ps 명령을 입력하면 프로세스가 강제 종료(Killed.. [MSSQL] sqlcmd, database 생성, user 생성, database 연결 sqlcmd로 MSSQL 접속 sqlcmd -U SA 예시 ## /opt/mssql-tools/bin/sqlcmd -S localhost -U SA -P "" mssql@1f47c61105fa:/$ /opt/mssql-tools/bin/sqlcmd -S localhost -U SA -P "myDBp@ssword" - MSSQL 서버 확인하기 SELECT @@SERVERNAME - MSSQL 인스턴스 확인하기 SELECT @@SERVICENAME - MSSQL 데이터베이스 확인하기 SELECT DB_NAME() Database 확인 ## database 리스트 1> select name from sys.databases 2> go ## 현재 database 확인 1> select db_name() 2> g.. [MSSQL] MSSQL 서버 리눅스 설치 및 DB기동과 종료 MSSQL은 보통 윈도우에 많이 설치들 하는데, MSSQL 2017, 2019 버전은 리눅스에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0. MSSQL 2017 설치하기 위한 Linux 최소 사양 OS : Linux 7.3 버전 이상 메모리 : 2GB 이상 디스크 : 6GB 이상 cpu 코어 : 코어 2개 이상 1. 레파지토리 구성 파일 다운로드 curl -o /etc/yum.repos.d/mssql-server.repo https://packages.microsoft.com/config/rhel/7/mssql-server-2017.repo curl -o /etc/yum.repos.d/msprod.repo https://packages.microsoft.com/config/rhel/7/prod.repo 2. MSSQL 서버.. [Linux] Swap swap이란? ▶ 시스템에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계속 작업이 이루어지게 해주는 영역 ▶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 ▶ 프로그램들을 많이 실행하여 메모리가 부족하게되면, 메모리 상 적재된 프로그램 중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에 옮겨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 ▶ 물리적 메모리의 용량이 가득 차게되면 하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 공간처럼 교환(swap)하여 사용한다. ▶ 하드 드라이브 상에 위치하여 RAM에 접근하는 것보단 접근 속도가 느리다. ▶ swapping(스와핑) - RAM이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 공간으로 이용하고, 메모리가 사용 가능해지면 다시 메모리로 옮겨오는 것 * swapping 사용 .. 이전 1 ··· 3 4 5 6 7 8 9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