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SQL은 보통 윈도우에 많이 설치들 하는데,
MSSQL 2017, 2019 버전은 리눅스에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0. MSSQL 2017 설치하기 위한 Linux 최소 사양
- OS : Linux 7.3 버전 이상
- 메모리 : 2GB 이상
- 디스크 : 6GB 이상
- cpu 코어 : 코어 2개 이상
1. 레파지토리 구성 파일 다운로드
curl -o /etc/yum.repos.d/mssql-server.repo https://packages.microsoft.com/config/rhel/7/mssql-server-2017.repo
curl -o /etc/yum.repos.d/msprod.repo https://packages.microsoft.com/config/rhel/7/prod.repo
2. MSSQL 서버 다운로드 및 설치
yum install -y mssql-server
2-2. MSSQL 서버 설치
/opt/mssql/bin/mssql-conf setup
2-3. 계정 패스워드 정책
a. 암호는 길이가 8자 이상
b. 대문자, 소문자, 숫자 및 기호 중 3가지 이상 포함
3. MSSQL 서버 실행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mssql-server
4. 방화벽 1433 port open
firewall-cmd --zone=public --add-port=1433/tcp --permanent
firewall-cmd --reload
5. PATH 환경변수 추가
vi .bash_profile
PATH=$PATH:$HOME/bin:/opt/mssql-tools/bin
source .bash_profile
6. unixODBC 개발자 패키지, mssql-tools 설치
yum install -y mssql-tools unixODBC-devel
# (mssql-tools 설치가 안되었으면 아래 명령어만 따로 실행) #
yum install mssql-tools-14.0.6.0-1.x86_64
7. sqlcmd로 MSSQL 접속
sqlcmd -U SA
# 접속에러시 방화벽을 내려보고 다시 접속 시도해보자 #
방화벽 상태확인
systemctl status firewalld
방화벽 내리기
systemctl stop firewalld
systemctl disable firewalld
-----------------------------------------------------------------------------------------------------------------------------------------------------------------
1. MSSQL DB 상태 확인
systemctl status mssql-server
ps -ef | grep -i mssql
2. MSSQL DB 종료
systemctl stop mssql-server
service : enabled ; 은리눅스를 종료 한 후 기동 했을 때, MSSQL을 자동으로 기동시켜주는지에 대한 정보입니다.
(자동 기동 비활성화)
systemctl disable mssql-server
(자동 기동 활성화)
systemctl enable mssql-server
3. MSSQL DB 기동
systemctl start mssql-server
참조
https://hapajay.tistory.com/52
[MSSQL] MSSQL 리눅스 설치(CentOS 7, MSSQL 2017)
안녕하세요~~~ 하파제이 입니다😊 이번에는 MSSQL를 리눅스에 설치해보는 내용입니다! MSSQL은 보통 윈도우에 많이 설치들 하는데, MSSQL 2017, 2019 버전은 리눅스에도 설치가 가능합니다! CentOS 7버전
hapajay.tistory.com
'DB > MSSQL'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sqlcmd, database 생성, user 생성, database 연결 (0) | 2023.03.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