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Linux공통

(36)
[Linux] ssh 원격 접속 에러(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가끔 가다가 잘 접속되던 서버가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띄우는 경우가 있다. @@@@@@@@@@@@@@@@@@@@@@@@@@@@@@@@@@@@@@@@@@@@@@@@@@@@@@@@@@@ @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 @@@@@@@@@@@@@@@@@@@@@@@@@@@@@@@@@@@@@@@@@@@@@@@@@@@@@@@@@@@ IT IS POSSIBLE THAT SOMEONE IS DOING SOMETHING NASTY! Someone could be eavesdropping on you right now (man-in-the-middle attack)!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SA host key has just be..
[Linux] 📚 사용자/그룹 계정 관리 명령어 💯 총정리 리눅스 계정 종류 사용자 분류 루트 계정 : 모든 권한을 가진 특별한 사용자 시스템 계정 : 리눅스 설치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계정 사용자 계정 : 실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계정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root(관리자)와 일반사용자로 구분한다. 각각 계정은 흔히 사용하는 ID가 아니라 번호로 부여하는 UID(User Identity)로 관리한다. Tip UID가 0번인 사용자는 슈퍼유저로 인식해서 관리자계정이 된다. 일반사용자 계정의 UID 범위는 /etc/login.defs 에 정의되어 있다. root (Super User)계정은 UID값이 0으로 지정된 관리자계정이다. 여기서는 다른 계정을 생성하거나 권한을 부여하고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다. 즉 모든 권한을 가진 계정이다. 만약 다른계정에 UID값을 ..
[Linux] hostname(호스트 네임) 설정하는 법 리눅스를 별도의 설정없이 설치하면 기본 호스트네임은 localhost.localdomain 이 됩니다. 각 리눅스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다음 방법으로 장비마다 호스트네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hostname 명령어 사용 hostname 은 예전부터 제공되는 명령어로 호스트네임을 설정하거나 가져올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없이 사용하면 현재 호스트네임을 표시합니다. $ hostname localhost 설정하려면 호스트네임을 파라미터로 전달하면 되며 다음은 호스트네임을 webserver1 으로 설정합니다. $ sudo hostname webserver1 $ hostname webserver1 하지만 hostname 명령으로 설정하면 재부팅하면 사라지며 영구적으로 설정을 반영하려면 /etc/hostname 파..
[Linux] 시스템 및 하드웨어 정보 확인 방법(lshw, ,lscpu,lsblk, lspci, dmidecode)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현재 시스템 하드웨어 장치의 정보를 봐야 할때가 있습니다. 확인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시스템 하드웨어 정보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입니다. ​ 서버 모델 CPU 모델 및 사양 네트워크 카드 모델 메모리 모델 및 용량 디스크 모델 및 용량 등등 ​ 1. lshw 명령어 사용 lshw 명령어를 사용하여 cpu , disks , memory , usb 등과 같은 하드웨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lshw 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proc 디렉토리에서에서 수집되었습니다 . 2. lscpu 명령어 사용 lscpu 명령어는 /proc/cpuinfo 에서 CPU, 코어, CPU 제품군 모델, CPU 캐시, 스레드 등과 같은 CPU 아키텍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3. lsblk 명령어 사..
[VirtualBox] 동적 디스크 -> 공유 디스크 변환 방법 Oracle 버츄얼박스에서 Storage Disk(저장소 디스크)의 Size 할당방식을 변경할 일이 가끔 있습니다. 보통 호스트서버(보통 자신의 PC)의 스토리지를 절약하려고 동적할당(Dynamic Allocation)을 많이 선택해서 가상서버(게스트서버)를 만듭니다. 하지만, 만들어 놓은 디스크를 다른 가상서버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동적할당 디스크는 공유가 불가합니다. 따라서 할당방식을 동적할당 -> 고정크기 방식으로 변경해줘야 합니다. 동적할당 방식으로 생성된 디스크를 설정변경만으로 손쉽게 바꿀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렇게 만들어진 디스크는 "가상 미디어 관리자" 에서 [복사] 기능을 이용해서 복사해서 다시 만들어줘야 합니다. 아래와 같이 [파일] - [가상 미디어 관리자] 로 들어갑니다. 가상 ..
[VirtualBox] 공유 스토리지(Shared Storage) 생성 방법 오라클 RAC 를 VirtualBox 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경우, 공유스토리지 구성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RAC 구성시 필요한 Voting Disk 를 반드시 Shared Storage 에 놓아야 하기 때문이죠. VirtualBox 에서 [저장소] 설정에서 먼저 디스크를 추가합니다. [새 디스크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새로운 저장공간을 생성합니다. "VDI" 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고정 크기" 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클릭합니다. (공유 스토리지는 "고정크기" 만 가능합니다. "동적할당" 을 선택하면 나중에 에러납니다.) # 버전에 따라 Pre-allocate Full Size로 나타나기도 함 디스크 크기와 이름을 지정합니다. [만들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만들어진 디스크는 상..
[Linux] IP 주소 바꾸기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원하는ip [root@tibero ~]# ifconfig lo down #현재 작동중인 네트워크 장치 lo의 작동을 중지 [root@tibero ~]# ifconfig lo 127.0.0.1 netmask 255.0.0.0 up #IP Adress를 127.0.0.1로 부여하고, Netmask는 255.0.0.0을 사용하도록 eth0을 활성화
[Linux] 리눅스의 퍼미션(권한)을 조정하기 (chmod, chown) 리눅스는 여러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는 멀티유저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여러 사용자가 들어오면 서버에 올려진 비밀자료 열람과 그것을 변조,수정,삭제를 할 우려가 높아집니다.. 그리고 그 비밀자료는 일부 사용자에게만 공개하는 것이였습니다. 하지만 모든사용자들이 다 볼 수 있겠죠.. 왜냐면 여러사람들이 사용하는 컴퓨터이기때문이지요.. 이 문제가 극복하기위해 리눅스에 한가지 기능을 추가합니다. 바로 퍼미션(권한)이라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퍼미션은 말그대로 시스템에서 유지되는 권한기능입니다.. 참고로 윈도우도 퍼미션기능이 있긴하지만, 여러사용자들이 들어오는 서버용이 아니기에 리눅스처럼 활성화되어있지않습니다.. 이 기능으로 사용자들은 자신한테 읽기퍼미션이 부여된 파일만 읽을 수 있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