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현재 시스템 하드웨어 장치의 정보를 봐야 할때가 있습니다.
확인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시스템 하드웨어 정보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입니다.
서버 모델
CPU 모델 및 사양
네트워크 카드 모델
메모리 모델 및 용량
디스크 모델 및 용량 등등
1. lshw 명령어 사용
lshw 명령어를 사용하여 cpu , disks , memory , usb 등과 같은 하드웨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lshw 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proc 디렉토리에서에서 수집되었습니다 .

2. lscpu 명령어 사용
lscpu 명령어는 /proc/cpuinfo 에서 CPU, 코어, CPU 제품군 모델, CPU 캐시, 스레드 등과 같은
CPU 아키텍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3. lsblk 명령어 사용
lsblk 명령은 다음과 같이 블록 장치에 대한 정보를 보고하는 데 사용됩니다.
블록장치란 하드 디스크, 플래시 드라이브 등과 같은 저장 장치 입니다.

4. lsblk 명령어 사용
lspci 명령어는 시스템의 모든 PCI에 연결된 장치에 관한 정보를 보여줍니다.
PCI 장치에는 USB 포트, 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카드등 있습니다.
-v 옵션으로 자세히 볼수 있습니다.


5. dmidecode 명령어 사용
dmidecode 명령어로 하드웨어 정보를 추출 할 수도 있습니다 .
-t 옵션을 붙여서 아래 목록을 개별적으로도 확인가능합니다.
bios
system
baseboard <----- ★★메인보드 확인 방법★★
chassis
processor
memory
cache
connector
slot




'Linux > Linux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 사용자/그룹 계정 관리 명령어 💯 총정리 (0) | 2023.01.30 |
---|---|
[Linux] hostname(호스트 네임) 설정하는 법 (0) | 2023.01.25 |
[VirtualBox] 동적 디스크 -> 공유 디스크 변환 방법 (0) | 2023.01.10 |
[VirtualBox] 공유 스토리지(Shared Storage) 생성 방법 (0) | 2023.01.10 |
[Linux] IP 주소 바꾸기 (0) | 2023.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