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74)
[Linux] Udev Rule 사용법 Udev 란 Udev 는 리눅스 커널을 위한 장치 관리자이다. devfsd와 hotplug를 계승하는 udev는 주로 /dev 디렉터리의 장치 노드를 관리한다. CentOS/RHEL/OL/Rocky 에서 systemd-udevd daemon 으로 동작된다. 장치 정보 상세 보기 Udev Rule 을 사용하기 위해선 udevadm 명령을 통해 장치의 상세 정보를 확인해야된다. 아래는 장치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 udevadm info /dev/sdb P: /devices/pci0000:80/0000:80:08.3/0000:83:00.0/ata2/host1/target1:0:0/1:0:0:0/block/sdb N: sdb S: disk/by-id/ata-Samsung_SSD_860_PRO_2T..
[Tibero] tbexport & tbimport (우리 회사 데이터베이스를 티베로로 변경하기) 발췌본 가. 개요 tbExport 유틸리티는 특정 오브젝트들을 추출(export)하여 운영체제의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저장된 파일은 다른(혹은 동일한) 티베로 데이터베이스에서 언제든지 다시 불러들여(import)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유틸리티를 통해 주요 오브젝트들을 손쉽게 이동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저장매체에 복사하여 안전하게 백업할 수도 있다. 다만 tbExport 수행 자체가 많은 운영체제/데이터베이스 자원을 사용하므로 데이터베이스 부하가 적은 시간에 작업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쉽게 많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만큼 해당 유틸리티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를 철저히 통제하여 보안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여..
[Tibero] tbExport/tbImport 주로 Tibero to Tibero 이관 작업을 할떄 사용하며, 두 데이터베이스의 캐릭터셋이 동일해야만 한다. tbExport/tbImport Tibero를 설치하면 $TB_HOME/client/bin 경로에 기본적으로 포함된 유틸리티로, tbExport는 Tibero 데이터베이스 객체의 전체나 일부를 파일로 추출하며, 추출된 덤프 파일과 tbImport를 이용해서 Tibero에 데이터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tbExport 모드 전체 데이터베이스 모드 Tibero 데이터베이스 전체를 덤프하는 모드로 아래 파라미터 지정으로 설정할 수 있다. FULL=Y 사용자 모드 지정된 사용자의 모든 객체를 덤프하는 모드로 아래와 같이 userlist를 지정해서 설정할 수 있다. USER=TIBERO,TIBERO1,S..
[Oracle] 바인드 변수의 부작용과 해법 바인드 변수의 부작용과 해법 1. 커서란 바인드변수 SQL 수행절차 - 최초 수행시 최적화 - 실행계획 라이브러리 캐시 적재 - 실행시 바인딩 최초 수행할 때 최적화를 거친 실행계획을 라이브러리 캐시에 적재하고, 실행시점에는 그것을 그대로 가져와 값만 다르게 바인딩하여서 반복 재사용 SQL의 최적화시점에서는 조건절 컬럼의 데이터 분포도를 활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짐 바인드 변수를 사용할 때는 평균 분포를 가정한 실행계획을 생성 아래의 기준으로 선택도를 구하게 된다. 1 번호 > : NO 5 번호 between :NO and :NO 2 번호 :NO and 번호 = : NO 7 번호 >= :NO and 번호 < :NO2 4 번호 :NO and 번호 < :NO2 1~4번은 선택도 5..
[Linux] ssh 원격 접속 에러(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가끔 가다가 잘 접속되던 서버가 아래와 같은 메세지를 띄우는 경우가 있다. @@@@@@@@@@@@@@@@@@@@@@@@@@@@@@@@@@@@@@@@@@@@@@@@@@@@@@@@@@@ @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 @@@@@@@@@@@@@@@@@@@@@@@@@@@@@@@@@@@@@@@@@@@@@@@@@@@@@@@@@@@ IT IS POSSIBLE THAT SOMEONE IS DOING SOMETHING NASTY! Someone could be eavesdropping on you right now (man-in-the-middle attack)!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RSA host key has just be..
[Linux] 📚 사용자/그룹 계정 관리 명령어 💯 총정리 리눅스 계정 종류 사용자 분류 루트 계정 : 모든 권한을 가진 특별한 사용자 시스템 계정 : 리눅스 설치시 기본으로 생성되는 계정 사용자 계정 : 실제 리눅스 사용자를 위한 계정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root(관리자)와 일반사용자로 구분한다. 각각 계정은 흔히 사용하는 ID가 아니라 번호로 부여하는 UID(User Identity)로 관리한다. Tip UID가 0번인 사용자는 슈퍼유저로 인식해서 관리자계정이 된다. 일반사용자 계정의 UID 범위는 /etc/login.defs 에 정의되어 있다. root (Super User)계정은 UID값이 0으로 지정된 관리자계정이다. 여기서는 다른 계정을 생성하거나 권한을 부여하고 비밀번호를 바꿀 수 있다. 즉 모든 권한을 가진 계정이다. 만약 다른계정에 UID값을 ..
[Linux] hostname(호스트 네임) 설정하는 법 리눅스를 별도의 설정없이 설치하면 기본 호스트네임은 localhost.localdomain 이 됩니다. 각 리눅스 장비를 식별하기 위해 다음 방법으로 장비마다 호스트네임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hostname 명령어 사용 hostname 은 예전부터 제공되는 명령어로 호스트네임을 설정하거나 가져올 수 있습니다. 파라미터없이 사용하면 현재 호스트네임을 표시합니다. $ hostname localhost 설정하려면 호스트네임을 파라미터로 전달하면 되며 다음은 호스트네임을 webserver1 으로 설정합니다. $ sudo hostname webserver1 $ hostname webserver1 하지만 hostname 명령으로 설정하면 재부팅하면 사라지며 영구적으로 설정을 반영하려면 /etc/hostname 파..
[Linux] 시스템 및 하드웨어 정보 확인 방법(lshw, ,lscpu,lsblk, lspci, dmidecode) 리눅스를 사용하다보면, 현재 시스템 하드웨어 장치의 정보를 봐야 할때가 있습니다. 확인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며,시스템 하드웨어 정보는 아래와 같은 정보들입니다. ​ 서버 모델 CPU 모델 및 사양 네트워크 카드 모델 메모리 모델 및 용량 디스크 모델 및 용량 등등 ​ 1. lshw 명령어 사용 lshw 명령어를 사용하여 cpu , disks , memory , usb 등과 같은 하드웨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습니다. lshw 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proc 디렉토리에서에서 수집되었습니다 . 2. lscpu 명령어 사용 lscpu 명령어는 /proc/cpuinfo 에서 CPU, 코어, CPU 제품군 모델, CPU 캐시, 스레드 등과 같은 CPU 아키텍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합니다. 3. lsblk 명령어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