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74)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리눅스의 퍼미션(권한)을 조정하기 (chmod, chown) 리눅스는 여러사용자가 들어와 사용하는 멀티유저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문제가 발생합니다. 여러 사용자가 들어오면 서버에 올려진 비밀자료 열람과 그것을 변조,수정,삭제를 할 우려가 높아집니다.. 그리고 그 비밀자료는 일부 사용자에게만 공개하는 것이였습니다. 하지만 모든사용자들이 다 볼 수 있겠죠.. 왜냐면 여러사람들이 사용하는 컴퓨터이기때문이지요.. 이 문제가 극복하기위해 리눅스에 한가지 기능을 추가합니다. 바로 퍼미션(권한)이라는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퍼미션은 말그대로 시스템에서 유지되는 권한기능입니다.. 참고로 윈도우도 퍼미션기능이 있긴하지만, 여러사용자들이 들어오는 서버용이 아니기에 리눅스처럼 활성화되어있지않습니다.. 이 기능으로 사용자들은 자신한테 읽기퍼미션이 부여된 파일만 읽을 수 있고,.. [Oracle] Chapter 10. 백업/복구의 구조와 동작 10.1 백업/복구를 왜 배워야하는가? 데이터는 매우 중요한 자산이며 시스템에 따라서는 '돈과도 바꿀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하다'라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여러분도 '열심히 작업하던 파일(데이터)을 실수로 저장하기 전에 종료해버렸다'와 같은 난감한 상황을 겪어 보지 않았는가? 개인적인 파일(데이터)이라면 다시 생성하면 되겠지만,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시스템에서는 그런 식으로 데이터를 복원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은행의 계좌 정보가 사라졌다면 어떻게 될까? 계좌 데이터를 다시 생성하는 방식은 애초에 불가능하며, 이내 대혼란이 발생할 것이다. 견고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디스크를 다중화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인다 하더라도, 시스템이나 관련된 장비가 만능일 수는 없다. 오랜 시간 동안 가동하여 장비들이 노후화되.. [Oracle] Chapter 9. REDO와 UNDO의 동작 9.1 REDO와 UNDO를 왜 배워야 하는가? 트랜잭션이 가지고 있어야 하는 특성에 'ACID'라는 것이 있다. 이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REDO와 UNDO는 빠질 수 없으므로 이들을 배울 필요가 있다. REDO와 UNDO에 대한 설명에 들어가기 앞서 ACID 특성이 대체 무엇인지 먼저 살펴보자. 9.1.1 A(Atomicity): 원자성 트랜잭션에 포함된 데이터의 변경은 '전부 OK'이거나 '모두 NG'라는 'all or nothing'을 말한다. DBMS는 수행 중인 트랜잭션에서 데이터를 일부만 변경하고 나머지는 수행하지 않은 채 커밋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떤 트랜잭션에서 A 계좌에서 출금하고 B 계좌에 입금했을 떄 '출금은 기록됐지만 입금은 기록되지 않았다'는 상황이 발생하면 곤란하다. 원.. [Tibero교육] Tibero Database Administration Tibero Database Administration Contents 1. 데이터베이스 유지관리 2. 사용자 관리 3. 오브젝트 관리 1. 데이터베이스 유지관리 • Tibero 구조 • Tibero 기동 환경 • tbSQL 유틸리티 • Tibero 기동 종료 • Parameter File • Controlfile 관리 • Redo Log 관리 • Tablespace 와 Datafile 관리 Tibero 구조 Tibero 구조 - Process Tibero 프로세스 구조 대규모 사용자 접속을 수용하는 다중 프로세스 및 다중 스레드 기반의 아키텍쳐 구조 - Listener, 워커프로세스 (Working Process 또는 Foregroud Process) , Background Process L.. [Linux] 기본 명령어 및 shell script 기초 1. 유용한 linux 명령 1.1. console 창에서 동일 명령 loop 돌리기 loop 돌리기는 모니터링 시 아주 유용하다. 예를 들어 running / active 세션중 tibero 계정에서 수행되는 QUERY중 ELAPSED TIME이 10 이상인 것들의 SQL_ID를 찾아야 된다는 미션이 주워질때 우선 해당 내용을 찾는 shell을 짜고 생성한 shell script를 loop 돌리면 된다. #1. shell script 생성 $vi t1.sh #!/usr/bin/ksh TIME='date' tbsql -s sys/tibero 10 union all select A.SQL_ID, A.PREV_SQL_ID, A.status, A.username, B.ELAPSED_TIME from v\$se.. [Linux] Raw Device에 대한 이해 Raw(날것의) Device 볼륨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개념이다. 대칭되는 개념으로는 File System이 있다.(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볼륨을 구성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1. Raw Device란? : 블록 장치로 구성되는 것이 아닌 문자 장치로 구성되는 방식으로 포맷을 지정하지 않고 디스크 구성하는 방식이다. File System을 구성하기 이전의 디스크 상태라고 보면 된다. # 문자장치란? : 문자 단위로 입출력이 이루어지며, 커널이 제공하는 버퍼를 사용하지 않고, 입출력 장치의 버퍼 또는 큐를 사용 2. 등장 배경 : Raw Device의 경우 주로 DBMS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사용한다. DBMS의 저장 공간으로써 가장 중요한 부분은 Disk의 I/O 성능이다. Raw Device의 .. [CentOS] CentOS 인터넷 연결하는 방법 CentOS 를 설치하고 나서 제일 먼저 할 일은 인터넷 연결입니다. 인터넷 연결이 안되면 아무것도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저 같은 경우 프로그램을 위한 서버를 구성해야 하는데 매번 USB 로 옮길 수 없잖아요. 인터넷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을 끝낸 후 재부팅 이후에도 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 먼저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ping 8.8.8.8 을 입력합니다. Network is unreachable 이라고 나오면 연결이 안된 것입니다. ▼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확인하기 위해 ip addr(ifconfig –a) 을 입력합니다. ▼ ifup 명령어 실행 후 화면에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다면 ifdown 하고 다시 ifup 을 실행합니다. 실행 결과 Co.. [CentOS] 리눅스(CentOS) sysctl 에 대하여 1. sysctl sysctl 명령은 커널 변수의 값을 제어하여 시스템을 최적화할 수 있는 명령이다. sysctl은 시스템의 /proc/sys 디렉토리밑에 있는 커널 매개변수를 제어한다. 이 디렉토리 밑으로 존재하는 디렉토리를 구분하는 '/'는 sysctl 명령이용시에는 '.'으로 대체한다. 2. 일반적인 커널 매개변수의 변경법 (1) 설명: 일반적으로 커널 매개변수를 변경하려면 /proc 디렉토리밑에 있는 항목들을 vi편집기를 이용하여 값을 변경하거나 echo명령을 이용하여 값을 변경한다. (2) 예: ping에 응답하지 않도록 설정해보자. 1) ping과 관련된 파일: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이라는 파일이다. 2) 값 확인 [root@www root]#..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