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43) 썸네일형 리스트형 [Linux] Cannot bind socket error(포트 이미 사용 중) 해결법 오류메시지: cannot bind socket [IP주소:포트번호] 원인: 바인딩하고자하는 포트를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 중 해결방법: 1) 포트번호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합니다. $ netstat -np | grep 포트번호 2)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해당 프로세스 번호를 알았다면 프로세스를 Kill합니다. $ ps -ef // 예) 프로세스 확인 $ kill -9 프로세스ID // 예) kill -9 2020 3) 프로세스를 죽여도 같은 현상이라면 네트워크 자원을 Kill하고 해제합니다. 자원을 해제하는데 길게는 몇 분까지도 소요됩니다. $ fuser -k -n 프로토콜 포트번호 예1) fuser -k -n tcp 1001 예2) fuser -k 1001/tcp 만약 'f.. [Linux] 프로세스 강제 종료, 먹통 일 떄 강제 종료하기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코딩 문제, 프로세스 문제 등으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해야 할 떄가 있다. 1. 터미널에서 프로세스 종료하기 터미널에서 Ctrl + c 키를 누르면 터미널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할 수 있다. 2. 프로세스 강제 종료를 했는데 프로세스 종료가 안 될때 터미널에서 Ctrl + c 키를 눌렀는데 터미널에 아무 반응이 없을 때에는 Ctrl + z 키를 눌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중지하자 그 다음 ps 명령어를 실행하여 현재 동작 중인 프로세스의 ID인 PID를 확인하자. 저의 경우는 tbsql이 먹통이라 tbsql의 PID인 2572를 가지고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인 kill -9 2572 를 입력하고 다시 ps 명령을 입력하면 프로세스가 강제 종료(Killed.. [Linux] Swap swap이란? ▶ 시스템에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계속 작업이 이루어지게 해주는 영역 ▶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 ▶ 프로그램들을 많이 실행하여 메모리가 부족하게되면, 메모리 상 적재된 프로그램 중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에 옮겨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 ▶ 물리적 메모리의 용량이 가득 차게되면 하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 공간처럼 교환(swap)하여 사용한다. ▶ 하드 드라이브 상에 위치하여 RAM에 접근하는 것보단 접근 속도가 느리다. ▶ swapping(스와핑) - RAM이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 공간으로 이용하고, 메모리가 사용 가능해지면 다시 메모리로 옮겨오는 것 * swapping 사용 .. [VirtualBox] 가상 하드디스크 용량 조절하기 VirtualBox 를 이용해 Linux Kernel Compile을 진행하고 있다. 그 동안의 기억으로 Linux는 크게 용량을 먹지 않았던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막상 kernel compile을 해보니 용량 증가 속도가 상당이 빠르고 많다는 것을 알았다. 처음에 가상 하드 디스크로 16GB를 할당해서 쓰고 있었는데 compile 도중에 모두 차버렸다.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없어서인지 X window에서 terminal도 실행이 안되고 해서 console로 진입해 용량을 확인해 보았다. 용량 확인을 위해 df -h를 해보니 /dev/sda1 에서 Avail이 0으로 되어 있고 Use%가 100%로 바닥나버렸다. 그래서 처음에 16GB로 잡았던 용량을 늘리기 위해서 VirtualBox 세팅을 아무리 .. [VirtualBox] 네트워크와 사용법 버추얼박스에서 가상머신을 생성시 기본 설정이 NAT 네트워크로 되어 있어 가상머신의 인터넷 연결은 별 무리없이 가능합니다. 다만, 여러가지 환경을 구축하고 테스트가 필요한 경우 버추얼박스 가상 네트워크를 알고 있다면 원하는 환경을 자유자재로 구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버추얼박스는 제공하고 있는 다수의 가상 네트워크 구성 방식과 설정을 알아야 합니다. 버추얼박스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이 있어서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 버추얼박스 네트워크에 대해 소개 드리고 사용 환경에 따른 사용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버추얼박스 가상 네트워크 ▷ 아래 그림과 같이 버추얼박스에는 다수의 네트워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NAT, NAT 네트워크, 브릿지 네트워크.. [XShell] 마우스로 복사/붙여넣기 설정법 이전까지 사용했던 툴들(PuTTY, SecureCRT 등)은 마우스로 해당 텍스트를 긁으면(선택하면) 자동으로 복사가 되었다. 그러다 최근에 개인용으로 XShell을 쓰게되면서 조작법이 달라 조금은 익숙하지 않은 상황을 겪게되었다. [ XShell 에서의 복사 / 붙여넣기 방법 (기본설정) ] 1. 복사할 경우 - 마우스로 복사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블록지정한다. - 마우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복사]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Ctrl + Insert )를 이용하여 복사한다. 2. 붙여넣을 경우 - 마우스 오른쪽 마우스 버튼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붙여넣기]를 선택하거나 단축키( Shift + Insert )를 이용하여 붙여넣는다. 기본적인 설정으로 그대로 사용하려면 위와 같이 사용하.. [Linux] 리소스를 제한(limits.conf) 하여 DB서버를 관리하자 DB를 운영하다 보면, 가끔 disk full(여유공간 부족) 상태가 되거나, 여러가지 이유(연계프로그램 버그, 소스 버그 등) 으로 너무나 많은 file open 이 되어 CUBRID 운영이 곤란할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위와같이 서버의 리소스를 특정 프로그램 혹은 유저가 점유할 수 있다면, 서버가 이를 버티지 못하고 다운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간단히 파일 설정값을 변경하여 리소스를 제한하여 서버다운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방법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etc/security/limit.conf파일을 수정하면 됩니다. 아래는 limit.conf파일의 내용입니다. # /etc/security/limits.conf # #Each line describes a limit for .. [Linux] Udev Rule 사용법 Udev 란 Udev 는 리눅스 커널을 위한 장치 관리자이다. devfsd와 hotplug를 계승하는 udev는 주로 /dev 디렉터리의 장치 노드를 관리한다. CentOS/RHEL/OL/Rocky 에서 systemd-udevd daemon 으로 동작된다. 장치 정보 상세 보기 Udev Rule 을 사용하기 위해선 udevadm 명령을 통해 장치의 상세 정보를 확인해야된다. 아래는 장치의 기본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 udevadm info /dev/sdb P: /devices/pci0000:80/0000:80:08.3/0000:83:00.0/ata2/host1/target1:0:0/1:0:0:0/block/sdb N: sdb S: disk/by-id/ata-Samsung_SSD_860_PRO_2T..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