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서 개정 이력 ◉
☞ 주관부서(팀) : 전 산 팀
개정 번호 |
개정 일자 | 개정 사유 및 주요 내용 | 결 재 | |||
담 당 | 검 토 | 승 인 | ||||
0 | 2017-05-25 | ․ 통합정보시스템 구축에 따른 전면개정 | ||||
05-20 | 05-25 | |||||
1 | 2022-09-15 | ․ 내부회계관리 고도화에 따른 부분개정 | ||||
09-12 | 09-15 | |||||
2 | ||||||
3 | ||||||
4 | ||||||
5 | ||||||
1. 목 적
우리회사에 적정한 종합 정보화전략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맞는 전산시스템을 설계, 구축하여 업무에 반영, 활용하면서 효과성 및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극대화하며 건설 정보화를 추진하기 위 한 기본소양교육 및 체계적인 전산 IT교육을 이수함으로써 최적의 정보기술적용 및 정보시스템 개발 능력을 갖추게 하여 보다 향상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 적용 범위
정보화 추진에 필요한 정보화전략계획 수립 및 조정, 경영환경 분석, 타업체 정보화 동향 및 IT활용 방안분석, 전산교육, 업무시스템 신규개발, 유지보수, 데이터베이스 관리업무 전반에 대하여 적용한 다.
3. 용어의 정의
3.1 정보화 전략 계획(ISP: Information Strategy Plan)
경영전략에 기초한 정보 전략을 확립하여 업무 정보요구에 적합한 사용자 중심의 개발계획과 우 선순위를 도출하여 데이터 공유를 실현할 수 있는 정보체계를 정의하여 효과적인 기업 내의 정 보관리 조직을 평가하고, 최고 경영층의 참여 및 승인을 획득한 기업내 종합 정보화 발전 계획 서
3.2 정보 기술(IT: Information Technology)
정보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유형·무형의 모든 기술과 수단을 아우르는 정보통신 용어
3.3 정보화 추진 자원
정보화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각종 자원으로, 정보화 추진 전문 인력, 프로그램 개발 툴, 미들 웨어, 사무자동화를 위한 S/W 라이센스, 프로그램 개발 관리 S/W, 시스템 운용 S/W 등
3.4 일반관리 업무
인사, 총무, 회계 업무와 예산관리, 소송관리 등 일반 지원업무
3.5 공사 업무
구매 계약 업무, 설계견적 업무, 공사 현황관리, 외주/자재 관리, 현장 노무관리, 현장 운영비/ 실정보고 관리, 장비 관리와 영업 관계 업무 즉 영업 관리, 분양 관리 등
3.6 패키지(Package)
컴퓨터 사용자에게 유용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 집합
3.7 유틸리티(Utility)
컴퓨터 이용에 도움되거나 쓸모가 있는 프로그램으로, 편집(Editor)이나 결함 수정(Debugger) 등과 같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프로그램
일반적으로는 응용 프로그램의 작성이나 실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문제 해결에 초 점을 맞춘 소프트웨어 또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용과 유지 관리를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3.8 아키텍처(Architecture)
내부 구조, 레지스터, 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등 컴퓨터의 기계적인 구조를 가리키는 말로써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와 그 요소들이 상호 연관하는 방식
3.9 인트라넷(Intranet)
인터넷의 기술을 응용하는 기업 내 전용 컴퓨터 네트워크로 기업의 각종 정보를 표준화하여 서 버를 통해서 공유하는 기업 내의 인터넷으로써 인터넷의 표준 통신 규약인 TCP/IP를 기반으로 인터넷과 동일한 검색 프로그램(브라우저), 통신장비,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서버를 통해서 전 자우편, 업무협의, 전자결재, 상품개발 정보교환 등을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번호(ID)와 비밀 번호(Password)가 있어야 접속이 가능하고 불법적인 외부 침입에 의한 기업 내부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을 제한하는 진입 차단 시스템(방화벽:Firewall)이 설치됨. 인트라넷의 통 신 규약과 정보 검색 프로그램이 인터넷과 동일하므로 인트라넷의 사용자는 바로 인터넷에 접속 하여 정보를 탐색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내의 작은 인터넷이라고 할 수 있음
3.10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기간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데이터를 공통의 형식으로 변환하여 일원적으로 관리하 는 데이터베이스. 웨어하우스는 창고라는 의미인데 데이터의 격납이나 분석 방법까지 포함하여 조직 내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정보 관리 시스템
3.11 미들웨어(Middleware)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있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자원을 불러 쓰기 위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가 운데 놓는 중간자
3.12 SSL(Secure Sockets Layer)
월드 와이드 웹(WWW) 브라우저와 WWW 서버 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
3.13 RFC(Request For Comments)
미국의 인터넷 아키텍처 위원회(IAB)가 인터넷에 관한 조사, 제안, 기술, 소견 등을 공표한 온 라인 공개 문서 시리즈. 네트워크 프로토콜 또는 서비스를 구현할 때 필요한 절차와 형식 등 인터넷에 관한 정보를 알리기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
모든 RFC가 인터넷의 표준은 아니고 일부의 RFC만 IAB에서 표준으로 결정하고 각각의 RFC 문서 에는 일련번호가 부여되며, 한 번 부여된 번호는 중복 사용되지 않음
3.14 공개 키 기반 구조(PKI : Public Key Infrastructure)
공개 키 암호 시스템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 보호 표준 방식
PKI는 인터넷상의 전자 상거래와 같이 광범위한 지역에 분산된 이용자의 전자 서명과 암호화에 의한 보안 등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됨
3.15 모형(Prototype)
향후 개발 완성코자 하는 시스템의 본질적 특성을 갖는 초기의 부분적 모형을 만드는 것으로 본격적인 시스템 개발에 앞서 사용자에게 미리 모델을 보여주는 것이다.
3.16 데이터 마이그레이션(Data migration)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성능이 향상되도록 데이터의 사용 빈도에 따라 데이터의 저장 공간이나 저장 형태를 조정하는 일
3.17 실체(Entity)
동일한 속성, 동일한 관계를 갖는 개개 요소들의 집합이고, 모든 실현값(occurrence)들의 집합 3.18 카디낼리티(Cardinality)
어떤 집합을 이루는 개별적인 요소들의 수
3.19 OSI 7계층 모델(7layer-model for OSI)
데이터가 전송되는 방식에 따른 계층을 7가지로 나누어놓은 모델로써 7계층 중 일반 사용자가 컴퓨터를 작동하는 행위는 최상위 계층인 응용계층에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4. 역할, 책임과 권한
4.1 대표이사
4.1.1 종합 정보화 전략 계획 승인
4.1.2 정보화 추진 업무 표준화 및 성능개선 승인
4.2 관련부서 임원
4.2.1 종합 정보화 전략 계획 검토
4.2.2 종합 정보화 전략 계획 유지보수 감독
4.2.3 정보화 추진 업무 표준화 및 성능개선 승인
4.2.4 정보화 추진관련 교육계획 승인
4.2.5 교육실시 실행 승인
4.3 전산담당 부서장(전산팀장)
4.3.1 전략 계획 작성 총괄 책임
4.3.2 ISP 작성 계획 수립 및 시행 총괄
4.3.3 정보화 추진 업무 표준화 및 성능개선 검토
4.3.4 외부 컨설팅 추진 및 실행
4.3.5 내부 업무 프로세스 분석 및 정리
4.3.6 동종업체 동향 조사 및 IT 활용 방안 자료 수집
4.3.7 정보기술 발전 추세 자료 수집 검토
4.3.8 정보화 추진관련 교육계획 검토
4.3.9 분기, 월별 교육계획 검토
4.3.10 교육실시 실행 검토
4.3.11 프로젝트 테스트 및 검수
4.4 전산기획 담당
4.4.1 정보화 추진 업무 표준화 및 성능개선 계획 수립
4.4.2 내부 업무 프로세스 분석 시행
4.4.3 현행 정보화 시스템 만족도 조사 및 요구사항 수렴
4.4.4 정보화 추진를 위한 자원 조사 및 자료정리
4.4.5 전산 시스템 운영에 따른 현업 만족도 조사
4.4.6 외부 컨설팅 전문 업체의 수배
4.4.7 정보화 추진관련 교육계획 작성
4.4.8 분기, 월별 교육계획 수립 및 작성
4.4.9 관련부서에 대한 교육에 필요한 협조사항 통보
4.4.10 업무전산화를 위한 업무분석
4.4.11 통합테스트 실행
4.4.12 단위테스트 검수
4.5 데이터 베이스 관리담당
4.5.1 데이터 백업 관리 방안 수립 및 시행
4.5.2 데이터 베이스 형상관리
4.5.3 총괄적인 데이터 베이스 성능 관리
4.6 시스템 설계 담당
4.6.1 운영 중인 정보화 시스템 설계서 현황 유지
4.6.2 신규 추진 또는 유지보수 정보화 시스템 분석서에 의한 설계 진행
4.6.3 프로그램 구현시 확인 감독
4.6.4 시스템 설계
4.6.5 통합테스트 실행
4.6.6 단위테스트 검수
4.7 프로그램 담당
4.7.1 신규 추진 또는 유지보수 설계서에 의한 프로그램 사양서 작성
4.7.2 프로그램 사양서에 의한 프로그램 구현
4.7.3 구현 프로그램의 단위테스트 시행
4.4.3 인수테스트 실행
4.8 네트워크운영 담당
4.8.1 네트워크 운용 현황 유지
4.8.2 네트워크 성능 개선 업무
4.8.3 네트워크 유지보수 관리
4.8.4 보안시스템 관리
4.9 전산기기(주전산기 및 서버)운영 담당
4.9.1 전산기기 운용 현황 유지
4.9.2 주전산기 성능 개선 업무
4.9.3 주전산기 유지보수 관리
4.10 정보화 추진 자원관리 담당
4.10.1 정보화 추진자원(인력, 개발 S/W 현황, 개발 관리 S/W, S/W 라이센스) 현황유지
4.10.2 정보화 추진 자원 구매 분석 업무
4.10.3 정보화 추진 자원 유지보수 관리
4.11 업무담당
4.11.1 업무전산화 신규개발 및 변경시 분석자료 제공
4.11.2 업무전산화 설계자료 검증
4.11.3 개발 및 변경 후 프로젝트 테스트
5. 업무 절차
5.1 종합 정보화 전략 계획 수립 및 조정
5.1.1 종합 정보화 전략 계획 수립
(1) 작성 계획 수립
(가) 사전 준비 작업 시행
전산담당 부서장은 종합 정보화 전략 계획(이하ISP라 칭함) 수립의 중요성을 인지하 고, 이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전 준비 작업을 시행한다.
1) 마인드(Mind) 확산
ISP는 어느 한 부서의 작업으로 진행될 업무가 아니므로 현업의 각 부서장 그리고 경영진의 정보화 마인드의 중요성을 인지시키고 이를 확산하여야 한다.
2) 자원조사
작성 규모의 판단을 위한 현행 정보화 시스템의 크기와 각종 정보화를 위한 자원조사 즉, 인적자원, S/W 자원, H/W 자원 또 정보화 추진업무를 수행할 현업들의 마인드를 조사하여 계획수립에 대한 요소로서 활용한다.
3) 유사업체 견학(벤치마킹)
ISP 작성 후 성공적인 정보화 추진을 수행하는 동종 유사 업체를 선별하여 견학을 실시하고, 계획 작성 수립의 참고 요소로 활용한다.
(나) 외부 컨설팅 업체활용
ISP 작성 작업은 산업사회환경, 정보기술 산업의 환경 및 발전 추세, 현재 운용중인 시스템의 점검, 통신 네트워크 환경, S/W, H/W 의 기술점검 등 종합적인 정보화 기술 지식을 요구하는 작업으로서 보통 전문 컨설팅업체와 시스템 통합(SI)업체 컨소시엄으로 진행을 한다. 그러므로 이와같은 외부 컨설팅업체와 합동으로 진행할 경우에는 적합한 협력업체를 선정하여야 한다.
(다) 추진 위원회 구성
추진 위원회는 각 부서별로 업무에 능통한 과장급이상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각 부서의 업무 흐름을 책임있게 분석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하며, 또한 발전적인 방향으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추진위원회 위원장은 보통 관리부서 임원이 맡게된다.
(라) 예산 편성
사전 조사된 자료에 의하여 ISP 작성 기간 중 활동할 수 있는 예산을 편성한다. 즉 위원회 운영 회의비, 사기 앙양비, 교육비, 기타 여러가지 조건에 의한 통신비, 출장비 등과 외부 업체와 합동으로 작성하는 경우에는 용역비까지 예산에 포함한다.
(마) 추진일정계획 수립
추진위원회의 위촉 발령에서부터 사전 자료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정기회의, 정기 보고회 등을 감안하여 구체적인 일정계획을 작성한다. 이 때 단계별로 결산 또는 중간 보고 할 수 있는 일정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 때 행하여질 내용까지 명시한다.
(2) 작성 진행
(가) 작성 내용의 점검
1) ISP는 진행 방법론에 따라 서술해야 할 내용들이 이미 정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특히 외주 컨설팅 업체에서 ISP 작성 프로젝트를 수행한다면 이미 내용에 포함 시켜야 할 사 항들이 목차에 편성되어 있다.
2) 전산담당 부서장은 추진위원회가 구성된 경우에는 추진 위원회와 함께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전산기획 담당과 함께 실행 절차를 재검토하여 ISP 작성 절차와 그 작업의 크기를 판단하여 ISP 작성 절차를 점검한다.
3) 전산담당 부서장은 점검한 내용이 프로젝트 진행 일정에 반영하여 작성 작업이 무리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일정을 재조정하고, 단계에 따른 중간 점검 보고를 할 수 있도록 조정 한다.
(나) 작성 절차
1) ISP 수립 프로젝트 개요
프로젝트의 배경, 목표, 추진전략, 사업범위, 수행방법, 추진조직, 추진경과 등을 작성한다. 또한 전산담당 부서장은 ISP 수립시 다음의 항목들에 대한 분석 및 개선 작업을 실시하고 실행계획을 세운다.
2) 경영환경분석
가) 내부환경 분석 : 조직도, 조직별 업무내역, 주요업무 활동체계, 업무 기능내역, 내부 환경 문제점, 강약점 분석
나) 외부환경 분석: 경쟁 환경, 일반환경, 환경요인에 따른 기회와 위협, SWOT 분석
다) 경영전략 분석 : 경영목표 및 비전, 주요 성공요인 및 추진 전략
라) 경영전략과 정보기술 연계성 탐색 : 최근 정보기술 활용추세, 경영전략과 정보기술 연계 가능성 분석
3) 현 정보기술 환경분석
가) 당사 정보기술 현황 : 정보화 연혁, 현 정보시스템 구성도, 현 업무 시스템 체계도, 현 정보기술 자원현황, 현 정보관리 조직현황, 정보화 투자 현황
나) 현 정보기술 만족도 분석 : 업무 시스템, 그룹웨어(Group ware), 홈페이지(Home page), 정보 인프라(Infra) 부문, 현 정보시스템 요구사항
다) 현 정보기술 현안 및 개선과제 : 주전산기 및 서버(Server), 네트워크(Network), 데 이터베이스(Data base) 관리시스템, 시스템 개발 방법, 정보보호, IT 솔루션, 정보화 기본 방향
4) 현 기업모형 분석
가) 현 업무 기능 분석
나) 현 업무 데이터 분석
다) 업무 기능 대 조직 상관도
5) 기업모형 개선
가) 유사업체 정보화 현황
나) 해외 선진 사례
다) 업무 혁신에 따른 정보화 요구사항
라) 총괄 정보화 요구사항
마) 개선 대상 프로세스 선정
바) 개선업무 흐름도
6) 정보구조 정의
가) 정보화 전략
① 정보화 기본전략 : 비전, 목표 및 추진방향, 추진전략, 시스템 미래상
② 부문별 정보화 추진전략 : 업무시스템, 솔루션 기반 시스템, 정보기술 인프라, 표준 화전략
③ 정보관리 전략
④ 교육전략
나) 업무 아키텍처 정의
① 업무 기능 분해도 : 전체, 상세, 통합 데이터 모형도
② 경영정보 관리 : 업무 목표 및 혁신포인트, 프로세스 개념도(상세 포함), 실체(Ent_ ity)관계도, 실체(Entity) 정의서
③ 일반관리 업무 : 업무 목표 및 혁신포인트, 프로세스 개념도(상세 포함), 실체(Ent_ ity)관계도, 실체(Entity) 정의서
④ 공사관리 업무 : 업무 목표 및 혁신포인트, 프로세스 개념도(상세 포함), 실체(Ent_ ity)관계도, 실체(Entity) 정의서
⑤ 현장관리 업무 : 업무 목표 및 혁신포인트, 프로세스 개념도(상세 포함), 실체(Ent_ ity)관계도, 실체(Entity) 정의서
다) 시스템 아키텍처(Architecture) 정의
① 통합정보시스템 모형
② 경영정보관리 통합 시스템
③ 일반관리업무 통합 시스템
④ 공사관리업무 통합 시스템
⑤ 현장관리업무 통합 시스템
⑥ 경영 전략 지원 시스템
⑦ 인트라넷 통합정보 시스템
⑧ 전사적 자원관리(ERP)
라) 기술 아키텍처 정의
① 하드웨어(Hard ware) 구성
② 네트웨어(Net ware) 구성
③ 시스템 소프트 웨어(System soft ware) 구성
④ 개발환경 표준화
⑤ 개발 방법론
7) 정보화 실행계획
가) 총괄 구축 계획
① 총괄표
② 업무 시스템 총괄표
③ 핵심 추진과제
④ 시스템 재개발의 당위성
나) 업무 시스템 구축계획
① 경영정보관리 통합 시스템 : 시스템개요, 구성, 개발규모 산정, 시스템 개발 우선순 위, 단계별 추진전략, 추진조직, 추진 일정, 소요비용
② 일반관리업무 통합 시스템 : 시스템개요, 구성, 개발규모 산정, 시스템 개발 우선순 위, 단계별 추진전략, 추진조직, 추진 일정, 소요비용
③ 공사관리업무 통합 시스템 : 시스템개요, 구성, 개발규모 산정, 시스템 개발 우선순 위, 단계별 추진전략, 추진조직, 추진 일정, 소요비용
④ 현장관리업무 통합 시스템 : 시스템개요, 구성, 개발규모 산정, 시스템 개발 우선순 위, 단계별 추진전략, 추진조직, 추진 일정, 소요비용
⑤ 경영 전략 지원 시스템 : 시스템개요, 구성, 개발규모 산정, 시스템 개발 우선순 위, 단계별 추진전략, 추진조직, 추진 일정, 소요비용
다) 솔루션(Solution) 기반 시스템 구축계획
① 지식관리 시스템 : 시스템개요, 구성, 개발규모 산정, 시스템 개발 우선순위, 단계 별 추진전략, 추진조직, 추진 일정, 소요비용
② 전사적 지식 포탈
③ 경영자 정보 / 데이터 웨어하우스(Data warehouse)
라) 하드웨어 구축계획
① 서버 : 서버 소요내역, 서버 도입요건, 서버 용량 산정, 상세 서버내역
② 디스크 어레이(Disk array) : 소요내역
③ 백업 장비(Backup device) : 소요내역
④ 기존장비 증설
⑤ 단계별 도입일정
⑥ 하드웨어 도입 비용산정
마) 네트워크 구축계획
① 기본전략
② 단계별 구축 계획
③ 네트워크 구성명세
④ 네트워크 장비사양
바) 시스템 소프트웨어 구축계획
① 소요내역 : 시스템 관리, 시스템 서비스
② 시스템 소프트웨어 도입일정
③ 구축비용 산정
사) 개발 환경 구축계획
① 표준 개발 환경
② 개발환경 구축 소요자원
③ 구축 비용 산정
④ 구축 비용 일정
아) 정보관리 조직 계획
① 정보관리 조직 구성방안 : 추진 방향
② 정보관리 조직 구성계획 : 전략, 조직구성, 인력 운영, 업무영역, 활성화 방안
③ 정보화 교육계획
④ IT 직무별 경력관리 교육과정
⑤ 정보화 관리자 워크 샾(Workshop) 정례화
자) 투자 계획
① 투자 계획 총괄표
② 부문별 투자 계획
③ 응용 시스템 개발 비용
④ 유지관리 데이터 베이스 구축 비용
⑤ 하드웨어 조달비용
⑥ 네트워크 조달비용
⑦ 시스템 소프트 웨어 조달비용
⑧ 개발 환경 구축 비용
⑨ 투자효과
(3) 유지 관리
(가) 전산담당 부서장은 진행 사항을 결산하고, 변경된 일정 및 계획은 추가로 작성한다.
(나) 전산담당 부서장은 작성된 ISP가 정보화 추진의 기준이므로 각종 정보화 추진 작업시 참 고 할 수 있도록 유지 관리하며, 사업계획을 작성할 때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5.1.2 정보화 추진 업무 표준화 시행
(1) 업무 표준화 추진 계획 수립
(가) 정보화 추진 업무 표준화 시행 필요성 및 요구사항 접수
전산담당 부서장은 현업에서 요구하는 정보화 추진 업무 요구사항의 타당성 검토 후 추진업무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현재의 업무사항과 표준화 후의 업무사항을 정확하게 기술한 후 관리부서 임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1) 업무 표준화 대상 : 비슷한 유형의 업무가 부서별로 분산되어 있는 경우, 또는 시행의 검토 승인단계가 일상적인 자료의 흐름에 위배되는 경우 등 정보화 시스템 구축 후에도 그 효과가 반감되는 경우에 업무 표준화를 시행한다.
2) 현업에서의 표준화 요구 사항의 접수 : 이미 시행중인 정보화 업무에 대한 표준화 요구 또는 그 필요성의 대두에 따라 그 대상 업무에 대하여 표준화를 시행한다.
(나) 표준화 실행 계획의 수립
1) 자료수집계획 : 전산기획 담당은 인터뷰 또는 설문지 등 관계되는 자료 수집방법을 정의 하고 이를 일정계획에 반영한다.
2) 세부 일정 계획의 수립 : 전산기획 담당은 표준화 시행 진행 순서를 감안하여 구체적인 일정 계획을 수립한다.
표준화 업무의 정의 단계, 현행 업무 흐름의 분석 단계(인터뷰 계획), 표준화 업무 모델 링 단계, 평가단계, 시행 단계(정보화 추진 설계, 구현등)를 일정화 한다.
3) 전산기획 담당은 정보화 추진 요구 업무 표준화의 특성에 따라 관련되는 부서가 다수 포함되고, 업무 개선 등 이를 개선하기 위한 위원회 등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산담당 부서장에게 이를 보고하고 필요 절차에 의해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관리부서 임원, 대표이사의 승인을 받도록 한다.
4) 전산담당 부서장은 업무 표준화 일정계획을 관리부서 임원, 대표이사의 승인 후 관계부서에 배포하여 사전에 진행 계획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다) 추진 위원회 구성
업무 표준화 추진위원회의 위원은 해당되는 업무의 현장 경험이 풍부한 직원으로 임명해 야 하며, 또한 발전적인 방향으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 다. 그리고 추진위원회 위원장은 관리부서 임원으로 한다.
(라) 예산 편성
전산기획 담당은 사전 조사된 자료에 의하여 표준화 정의 기간 중 활동 할 수 있는 예산을 편성한다. 즉 위원회 운영 회의비, 사기 앙양비, 교육비, 기타 여러 가지 조건에 의한 통신비, 출장비등과 외부 업체의 컨설팅 용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용역비까지 예산에 포함한다.
(마) 제안요청서(RFP)의 작성
전산기획 담당은 외부 업체의 용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시행하고자 하는 표준화 업무의 사양과 진행일정 기타 요구사항을 명시한 제안요구서를 작성하고, 적정업체를 선발한 다음, 현장 설명회를 통하여, 적정가 입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바) 종합 일정계획수립
전산기획 담당은 추진 위원회의 위촉 발령에서부터 자료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표준화 대상 업무분석을 위한 업무 담당자의 인터뷰 계획, 추진위원회의 정기회의, 진행사항을 보고할 수 있는 정기 보고회 등을 감안하여 구체적인 일정계획을 작성한다. 이 때 단계별로 결산 또는 중간보고 할 수 있는 일정은 반드시 필요하며, 그때 행하여질 내용까지 명시하여야 한다.
(2) 표준화 대상 업무 분석 진행
(가) 표준화 업무 분석 사전 내용의 점검
1) 전산기획 담당은 정보화 전략 계획(ISP)에 위배되는 사항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호 연관 되는 시스템을 점검한다.
2) 전산기획 담당은 표준화 대상 업무 분석을 위한 인터뷰 등을 시행하는 경우에는 분석하 여야 할 표준화 업무에 대하여 미리 사전 지식을 학습해야 한다.
3) 전산기획 담당은 필요에 의해서 실제적인 업무가 행하여지는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을 미 리 작성하여, 인터뷰 자료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나) 표준화 대상 업무 분석 절차
1) 표준화 대상 업무의 정의
가) 정의 : 표준화 업무가 요구하는 목표를 정의하기 위해 현행업무의 흐름을 확인하고 조사하는 과정
나) 수집 대상 요구 내용 : 기능 요구 사항, 성능 요구 사항, 인터페이스 요구 사항
다) 환경분석 : 요구 사항이 나오게 된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의 분석
2) 타당성 조사
가) 정의 : 업무 시스템을 개발할 때 무한대로 자원과 시간이 주어지는 것은 아니므로 주 어진 시간과 예산안에서 시스템을 개발해야 한다. 따라서 가능한 한 빠른 시간 내에 개발 타당성을 평가해야 한다.
나) 타당성 조사의 종류
① 경제적 타당성
② 기술적 타당성
③ 법적 타당성
④ 대체방안
3) 비용과 일정에 대한 제약 설정
가) 표준화 업무의 흐름을 분석하는 전산기획 담당은 응용 분야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개발비용, 개발일정, 시스템 성능 등에 대하여 정확한 예측을 하고 있어야 한다.
나) 업무 표준화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각 기능에 대한 소요비용과 업무 표준화 시행기간의 예측, 제약조건 및 위험에 대한 평가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4) 정보화 추진 업무 표준화 사항 정의 문서화
가) 표준화 업무 요구사항 명세서 : 업무 표준화를 요구하는 현업 부서 업무담당이 작성 한다.
나) 현행 물리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① 관련부서, 표준화 요구사항에 표시된 업무를 중심으로 프로세스의 흐름을 표시한다. 이 때 타 업무 시스템과 연관되어 프로세스가 진행될 경우 입력 자료와 출력 자료명 세를 정확하게 표시한다.
② 현재 시스템에서의 개선사항을 입출력 구분하여 표시한다.
다) 현행 프로세스 명세서
① 다이어그램에 표시된 프로세스의 주요 기능을 표시한다.
프로세스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특성 별로 나열하고, 이때 비즈니스 로직이 적 용되는 경우 이를 상세히 표시한다.
② 타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해야 할 경우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기술한다.
라) 표준화 물리 프로세스 다이어그램
① 관련 부서와 표준화 목표 프로세스의 흐름을 표시한다.
② 현행과 목표 프로세스를 비교할 수 있는 자료를 작성한다.
③ 이는 표준화 업무 설계시 논리 프로세스 다이어그램의 작성 기초가 된다.
마) 표준화 물리 프로세스 명세서
① 다이어그램에 표시된 프로세스의 주요 기능을 표시한다.
프로세스에서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특성별로 나열하고, 이 때 비즈니스 로직이 적 용되는 경우 이를 상세히 표시한다.
② 타 시스템과 인터페이스해야 할 경우 인터페이스 명세서를 기술한다.
바) 표준화 기능구조도
① 표준화 후 업무별로 수행되어야 할 기능구조도를 작성한다.
② 기능 설명서 : 기능구조도에 표시된 기능의 사양을 기술한다.
사) 표준화 관련 사항은 문서화 절차서와 문서 및 자료관리 절차서에 따른다.
(3) 유지 관리
(가) 전산담당 부서장은 업무 표준화 진행사항을 점검하고, 기존 정보화 시스템의 변경 요소 확인 및 기타 타 시스템 영향 여부 등을 점검하고 계획된 업무 표준화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수시로 확인 점검한다.
(나) 전산담당 부서장은 표준화 업무 분석서가 변경되었을 경우에는 이를 시스템설계 담당 및 프로그램 담당에게 통보하고 변경된 내용이 반영될 수 있도록 처음부터 시스템을 점검해 나가야 한다.
5.1.3 정보화 시스템 성능 개선 업무
(1) 정보화 시스템 성능 개선
(가) 정보화 시스템 성능 개선 업무 범위
정보화 기술은 산업사회의 기반 인프라 기술로 이제 필요 수단이 아닌 관리요소의 필수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그 기술의 발전은 하루가 다르게 발전속도를 더하 고 있으므로 수시로 점검하고 성능개선을 해야한다.
1) 성능 개선 대상 : 데이터베이스 튜닝 기술, GUI 툴, 미들웨어,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 각종 원격 통신 프로그램, 웹 프로그래밍 등
2) 성능 개선 대상 업무의 판단 : 정보화 시스템에 대하여 적정 성능을 판단하고, 기준 자 료를 만들어 간접적인 판단을 하여야 하나, 간접적인 기준 자료를 만들기까지는 현업에 서 요구하는 성능 불만 사항을 그 대상으로 한다.
(나) 성능 개선 요구사항의 접수
1) 성능 개선 요구사항 접수
가) 전산기획 담당은 현업부서 사용의 성능 개선 요구사항을 유선전화 및 요청부서의 팀장 및 전결권자의 검토 및 승인을 득한 요청서를 받는다.
나) 전산기획 담당은 정보관리 조직 자체적인 점검으로 성능 개선이 필요한 업무를 발췌 한다.
다) 전산기획 담당은 신기술의 출현으로 기존 시스템의 성능 개선이 가능해진 업무를 판 단하여 개선 대상 업무로 발췌한다.
2) 자료 수집 계획
관련 기술업체 또는 기술 관련지를 수집하여 성능 개선 업무 계획을 구체화 시킨다.
3) 일정 계획의 수립
전산기획 담당은 성능 개선 진행 순서를 감안하여 구체적인 일정계획을 수립한다. 성능 개선 업무의 정의 단계, 성능 개선업무의 내용, 성능 개선 후의 업무 내용, 평가단계, 시행단계(정보화 추진 설계, 마이그레이션, 구현 등)을 일정화 한다.
4) 전산기획 담당은 일정계획을 관리부서 임원의 검토를 거쳐 대표이사의 승인을 받은 후
관계 부서에 배포하여 사전에 진행 계획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다) 예산 편성
전산기획 담당은 사전 조사된 자료에 의하여 시스템 성능 개선에 필요한 예산을 편성한 다. 필요 S/W, H/W의 구입예산을 확보하고, 데이터베이스 레이아웃, 비즈니스 로직, 기 타 서버 커뮤니케이션 등의 시스템 사양 변경에 따른 외부 용역 인원의 투입경비, 그리 고 기타 여러가지 조건에 의한 통신비, 출장비등과 외부 업체의 컨설팅 용역이 필요한 경우에는 용역비까지 예산에 포함하여 편성한다.
(라) 제안요청서(RFP)의 작성
전산기획 담당은 외부 업체의 용역이 필요한 경우에 시행하고자 하는 성능 개선 업무의 사양과 진행일정 기타 요구사항을 명시한 제안요청서를 작성하고, 적정업체를 선발한 다음 현장 설명회를 통하여, 적정가 입찰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2) 종합 일정계획 수립
전산기획 담당은 종합일정 계획을 다음 단계와 같이 수립하여 전산담당 부서장에게 보고하고, 전산담당 부서장은 담당 임원의 검토를 거쳐 대표이사에게 승인을 받는다.
(가) 성능 개선 준비 작업 : 작업 분석(벤치마킹, 엔지니어 인터뷰, 사용자 인터뷰 등)
(나) H/W의 발주 설치 작업 : 관련 S/W의 설치 공정 및 납기 등을 고려
(다) S/W의 발주, 설치, 교육, 시행 : 납기, 설치 소요, 관련 하드웨어의 설치 일정 등 고려
(라)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시행 : 개선 사양분석, 변경 대상 작업량의 판단, 필요 S/W의 제작
(마) 응용 S/W의 변경 : 개선 변경 사양에 따른 전체 작업량의 판단, 필요 인원의 판단, 툴 및 필요 시스템 S/W의 확보 판단
(바) 작업관리 일정 : 진행점검, 정기 보고
(3) 시스템 성능 개선 시행
(가) 시스템 성능 개선 준비 작업
1) 각 제품(H/W, S/W)에 대한 세부 구성 사양
2) 설치될 장소, 위치, 장비의 하중을 견딜수 있는 지 여부
3) 장비인 경우 건물내 이동 방안
4) 필요 전원 및 설치 인원의 현장 출입 허용시간
5) 네트워크 장비 및 포트, IP 어드레스
6) 전산 기계실내에 설치 할 경우 발열량에 따른 항온항습기 용량, 무정전 전원장치(UPS)의 용량, 자동전압 조정기(AVR)의 용량 점검
7) 기타 작업시 필요한 승인 절차
(나) 하드웨어의 설치
1) 하드 웨어 설치 요건 정의 사항 재점검 : 전원, 항온 항습, 하중, 네트워크 등
2) 설치 우선 순위의 결정
3) 하드웨어 설치 및 육안 점검
4) 원할한 운영에 대한 기술 지원 및 시나리오에 의한 설치 및 그 환경을 구축
(다)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설치
1) 시스템 운영체계의 설치
2) 운영 관련 추가 프로그램 및 패치 프로그램의 설치
3) 디스크 접속을 위한 시스템 구성도 확정
4) 기본 네트워크구성 및 망 개통
5)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설치
6) 각종 미들웨어 및 유틸리티 프로그램의 설치
7) 기타 추가 프로그램 설치
(라)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1) 변환 데이터 목록의 확인(테이블 별)
2) 변환 프로그램의 작성
3) 테스트 변환 시행, 확인
4) 변환 프로그램의 수정 및 확정
5) 데이터 변환 시행
6) 변환 데이터의 확인
(마) 응용 소프트 웨어의 변환
1) 변환 내용의 점검(세부 변환내역서의 작성)
2) 프로그램의 수정 및 단위 테스트
3) 변환 프로그램의 테스트 및 데이터의 확인
(바) 작업관리
1) H/W 및 S/W 발주 및 입고 시점
2) 데이터 베이스의 변환 작업량 및 일정에 따른 중간 점검 일정
3) 응용 S/W의 사전 테스트 및 적용 일정에 대한 점검
4) 중간 보고 시점 및 보고내용의 점검
(4) 유지 관리
(가) 전산담당 부서장은 성능 개선 프로젝트의 진행사항을 일정에 따라 점검하고, 진행절차의 결과에 따라 위험요소를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
(나) 관리 일정에 따라 관리부서 임원, 대표이사에게 작업 경과 보고를 시행하고, 지시사항을 수행한다.
5.1.4 IT 보안 시스템 관리 업무
(1) IT 보안 시스템
(가) IT 보안 시스템 업무 범위
정보화 기술의 발전은 본격적인 인터넷 세상을 만들어, 최근에는 인터넷만으로도 살 수 있을 정도로 쇼핑몰과 같은 사이버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이와같은 사이버 산업 의 성장은 보안 기술의 뒷받침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었다. 네트워크 보안, 호스트 컴퓨 터 보안, 데이터의 보안 등 각종 보안요소들 중 사내 적용될 수 있는 보안은 다음과 같 다.
1) 침입 탐지 기술
인터넷의 확장으로 네트워크를 통한 침입의 가능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에 따라 시스템 이나 네트워크 침입을 즉각적으로 탐지하고 대처할 능력이 있는 기술과 이러한 기술을 이용해 자동으로 침입을 탐지, 보고, 조치하는 자동화된 시스템이 필요하게 됐다. 침입 탐지 시스템의 목표는 크게 두 가지로 설명될 수가 있다.
가) 침입자에 의한 불법적인 사용탐지(Anomaly detection)
이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해킹이라고 부르는 시스템 파괴(Cracking)나 시스템 정지 행 위(Denial of service)에 대한 시도 자체를 탐지해 자동으로 대응하거나 네트워크 담 당에게 경고함으로써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자는 것이다.
나) 합법적인 사용자에 의한 오용이나 남용탐지(Misuse detection)
현재는 운영체제에 로그인한 사용자들의 행동 중에서 특정 파일을 삭제하는 등의 권 한 남용 행위를 막아주는 방지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2) 네트워크 보안
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를 전달할 때 중간에 가로채거나, 수정하거나 하는 해킹을 당할 수 있다. 네트워크 보안은 이런 위험으로부터 정보를 안전하고 신뢰성있게 전달하는 것 을 목표로 한다.
가) 파이어 월(Fire wall)
침입차단 시스템이라 불리는 파이어 월은 이미 대중화 단계로 접어든 인터넷 보안 솔 루션의 대명사다. 인터넷과 연결되는 외부망과 사내의 중요한 전산 자원이 존재하는 내부망을 완전히 분리하고 이들의 유일한 통로에 파이어 월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듀얼홈드(Dual-homed) 게이트웨이 방식이라고 하며 가장 보안성이 높은 구축방법이 다. 일단, 듀얼홈드(Dual-homed) 게이트웨이로 설치된 파이어 월은 인터넷과 연계되 는 모든 네트워크 흐름을 검사해 접근 통제 기술을 적용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로그정보를 남길 수가 있다. 또한 내부망의 사설 IP를 공인 IP로 변환하는 기능이나, 다음에 설명할 VPN 기능을 부가적으로 탑재하는 경우도 있다.
나) SSL(TLS)/VPN
두가지 모두 암호 기술을 네트워크 기반 기술에 접목해 구현해 낸 결과물이다. SSL (TLS)은 OSI 7계층 모델 중 전송 계층에서 클라이언트/서버간의 암/복호화를 이뤄낸 솔루션이다. 주로 HTTP, 텔넷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요즘 폭발적인 성장을 계속하 는 인터넷 쇼핑몰들은 대부분 SSL을 사용해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보호한다. VPN (Virtual Private Network)은 인터넷이라는 공중망을 이용해 사설망의 효과를 보자는 방안이다. 이를 위해서는 역시 암/복호화 방법이 사용되는데, 이를 구현하는 프로토 콜이 OSI 7계층 모델 중 네트워크 계층에 위치하고 있어 클라이언트/서버간의 암/복 호화는 물론이고 IP를 가로채고 속이는 IP스누핑 공격을 무의미하게 만들 수 있다. 구현 프로토콜로는 RFC(Request For Comments)가 있다.
다) 네트워크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
침입 탐지 기술을 네트워크상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현한 시스템이다. 동 일한 네트워크 영역에서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되는 데이터를 가로채서 이를 분 석해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해킹 분석 패턴과 비교한 후, 대응/경고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라) 네트워크 서비스 취약점 분석 도구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즉, 서버의 취약점을 분석해 주는 도구들이 등장 했다. 이 도구를 이용하면 이미 보고된 보안 취약점에 대한 서버의 취약 정도를 분석 할 수 있다. 취약하다고 지적된 사항에 대해서는, 대부분 수정 방안까지도 제시하기 때문에, 이 도구를 이용해 끊임없이 보안 검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마) 공개 키 기반 구조(PKI : Public Key Infrastructure)
인터넷 보안 기술 분야 중에서 앞으로 세상을 가장 크게 변화시킬 기술이 바로 PKI기 술이다. PKI는 앞서 설명한 공개키 암호 기술에 기반한 기술이다. 전자 서명 및 전송 무결성 기능을 수행하는 공개키 암호 기술에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공개키 의 생성/분배/관리 문제에 대한 솔루션이 바로 PKI이다. PKI가 네트워크의 기반 기술 로 완벽하게 자리잡는 시기가 오면 우리의 인감은 완전히 사라져 버릴지도 모른다.
3) 시스템 보안
시스템 보안이란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서버 등의 보안 허점으로 해 커들이 침입해 컴퓨터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말한다.
가)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
침입 탐지 기술은 호스트에 로그인 한 사용자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구현한 시스템이다. 운영 체제와 연계된 각종 로그를 분석하고 수상한 징후가 발견된 때는 미심쩍은 사용자의 세션을 종료하며 네트워크 담당에게 경고한다. 네트워크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과 연계해 사용하면, 침입 탐지에 관해서는 거의 완벽한 대칙을 세 울 수가 있다.
나) 호스트 취약점 분석 도구
운영체제에 상존해 있는 문제점을 발견해 이에 대한 수정 방법을 알려주는 도구다. 또한 다중 사용자 시스템인 유닉스에서 네트워크 담당의 소홀로 발생할 수 있는 보 안 취약점, 예를 들면 파일 소유권이나, 파일 실행 권한의 잘못된 설정 등이 존재하 는지 검사해 준다.
4) 안티 바이러스
과거 무분별한 소프트웨어 불법복제로 바이러스의 악명이 높아졌으나, 이제는 과거와 같 은 소프트웨어 복제보다는 인터넷에서 다운로드 받은 프로그램을 통해서 바이러스에 감 염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컴퓨터 바이러스를 예방하기 위한 안티 바이러스 기술도 인터넷 보안 기술의 영역에 포함된다. 컴퓨터 바이러스는 컴퓨터 시스템의 부트 영역, 메모리, 실행 프로그램, 문서 프로그램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에 감염되며 자기 증식 및 자기 복제가 가능하고 자연 발생적이 아닌 프로그램 담당이 인위적으로 제작한 파괴성을 가진 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80년부터 생성된 바이러스는 다음과 같이 발전했다.
가) 1세대(1987-1989년)
원시형 바이러스로 아마추어 프로그래머들이 호기심으로 제작. 대부분 약간의 노력으 로 복구가 가능했다. 예루살렘, 탁구, LBC바이러스 등이 해당된다.
나) 2세대(1990-1992년)
암호형 바이러스로 분류되며 감염 프로그램 내에 암호화 형태로 기생(백신 프로그램 의 진단을 어렵게 하기 위함)했는데, 메모리에 상주할 때에는 암호화가 풀리기 때문 에 백신에서 진단이 가능했다. 느림보, 폭포, 방랑자 바이러스 등이 해당된다.
다) 3세대(1993-1994년)
은폐형 바이러스로 분류되며 자기 자신의 은폐화를 시도(마치 감염되지 않은 것처럼 위장)해 사용자를 속였는데, 깨끗한 도스로 부팅 후 확인하면 은폐가 불가능하기 때 문에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브레인, 숨박꼭질, 바이러스 등이 해당된다.
라) 4세대(1994하-1996년 상반기)
갑옷형 바이러스로 분류되며 바이러스 제작자들이 백신 제작자를 공격하기 위해 만들 어졌다. 바이러스가 갖고 있는 알고리즘을 분석해 백신에 추가하는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나타스, 1/2, 푸른하늘 바이러스 등이 해당된다.
마) 5세대(1996년 하반기-현재)
매크로 바이러스로 분류되며 실행 파일이 아닌 문서 파일을 공격함으로써 기존 바이 러스 개념을 수정하게 만들었다. 매크로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셋업 작업기 매크로 기 능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으로 문제를 막을 수 있으며 백신으로 치료할 수 있다. 워드 컨셉, 워드 매크로, 와쭈, 라록스 바이러스 등이 해당된다.
(나) IT보안 시스템의 성능 개선업무
본 지침서 5.1.3항 정보화 시스템 성능 개선 업무를 참조하여 진행한다.
(다) 예산 편성
전산기획 담당은 사전 조사된 자료에 의하여 IT 보안시스템 관리에 필요한 예산을 편성한다.
(2) 관리 계획 수립
전산기획 담당은 관리 계획을 다음 단계와 같이 수립하여 전산담당 부서장에게 보고하고, 전산담당 부서장은 관리부서 임원의 검토를 거쳐 대표이사에게 승인을 받는다.
(가) 현재의 IT 보안 시스템 현황유지
(나) 정기 예방 점검 계획의 수립
(3) IT 보안 시스템 관리
(가) 현재의 IT 보안시스템 현황
1) 장비 현황
가) 제품명 : PortiGate 200D
나) 보안구분 : 방화벽(인터넷 침입차단, 웹필터링)
다) 설치일자 : 2017.6
2) 설치 구성도
(나) 예방 정비 시행
1) 접근제어
내부에서 외부로 접근하는 모든 접속에 대하여 IP주소, 프로토콜, 서비스, 사용자, 시간 대별로 전산기획 담당이 정의한 규칙에 의하여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
2) 사용자 인증
사용자 식별과정을 통하여 허용된 사용자에게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3)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가능
네트워크 주소 변환기능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연결할 때 공인 IP 주소 없이도 자유로이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으며 외부에 내부 네트워크 정보 유출을 차단한다.
4) 컨텐트 제어기능
인터넷 상의 많은 정보들을 전산기획 담당의 선택에 의해 정보들을 선별하고 차단할 수 있게 하여 준다.
5) 네트워크 사용 감사기록 및 그래프 분석 통계 기능
네트워크 사용에 대한 감사기록 목록을 전산기획 담당이 자유롭게 검색하여 볼 수 있 고 기록된 내용은 다양한 통계 분석을 위한 상세한 그래프와 기간별 이용도 등으로 자료 를 제공하므로 이를 이용한 요율적인 운영계획과 사용 계획 등의 정책을 수립한다.
(4) 유지 관리
(가) 전산담당 부서장은 IT보안 시스템 운영 현황을 수시로 점검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신속 하게 하여야 한다.
(나) 전산담당 부서장은 관리 일정에 따라 관리부서 임원, 대표이사에게 작업 경과 보고를 시 행하고, 지시사항을 수행한다.
5.1.5 정보화추진 관련 자원관리
(1) 인적자원관리
관리부서 임원은 전산에 관련된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정보화추진 업무를 진 행하는데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고 전산담당 부서장은 적정한 인적자원 소요계획을 수립하고 적임자격 요건에 맞는 인적자원을 편성 및 관리한다.
(가) 인적자원 소요계획
전산업무의 종류와 규모가 확대 및 전문화되어 가는 현시점에서 가장 필요한 핵심요소는 인적자원이다. 정확한 업무 수행 능력을 가진 전문가들을 일선에 배치하고 잠재적 가능 성을 가진 사람을 선별하여 전산업무에 투입해야 한다.
1) 정보기술 적임자격요건 (단위:인)
적임자격 부여대상 | 사내 자격기준 | 비 고 | |||
경 력 | 학 력 | 교육훈련 및 자격증 | 교육훈련주기 | ||
시스템 설계담당 | 5년이상 | 대졸이상 | 시스템설계,구축 | 년8시간 | *필수사항 -전산 및 관련전공자 -정보처리기사 1급 이상 자격증보유 |
프로그램 담당 | 2년이상 | 대졸이상 | 정보처리 기사이상 |
년8시간 | |
네트워크 운영담당 | 3년이상 | 대졸이상 | 네트워크구축 및 통신망관리 | 년8시간 | |
전산기기담당 | 3년이상 | 대졸이상 | 서버급 PC관리 | 년8시간 | 협력업체 인원활용 |
2) 인적자원의 역할
가) 전산기획 담당
컴퓨터 시스템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문제점을 파악해서 컴퓨터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전문가이다. 또한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인력, 비용 및 개발기간을 산정하고, 시스템 개발 제안서를 심사하고 승인하며 시스템의 사용자, 시스템의 운영절차, 파일 과 데이터베이스 구성 운영에 대한 모든 작업을 주도한다.
나) 시스템 설계 담당
전산업무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사용자의 정보화 요구 사항을 정보 시스템에 적절하게 반영시키는 전문가로 하드웨어와 프로그램 언어 등을 고려해 시스템을 설계한다.
다) 프로그램 담당
사내 정보화 추진 업무중 프로그래밍을 담당하는 전문가로서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하 고 유지 보수하는 개발자이다.
라) 데이터베이스 관리담당
자료의 안전한 보관과 체계적인 활용을 위해 데이타베이스 관리체계와 자료를 검토 ․ 개선하고 운영시스템을 관리한다
마) 전산기기 담당
시스템을 연구, 분석, 관리까지 개발에 대한 실행계획을 수립하고 현재의 시스템 개 발에 대한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또한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사용자의 요 구에 따른 개선, 보안이나 새 시스템을 설계하는 작업에 대한 결정자료를 작성한다.
바) 네트워크 운영 담당
서버구축, 보안설정, 시스템 최적화 등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통신망 관리업무를 진행 한다.
(나) 인적자원의 운용
정보기술 인적자원의 운용은 사내 정보화 추진업무와 연계하여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최우선 목표로 지향한다.
1) 전산기획 담당
정보화 추진업무를 총괄하여 진행하며 사내 정보화 정책을 제시한다.
2) 시스템 설계담당
사내 정보화 시스템을 설계한다.
3) 프로그램 담당
사내 정보화 시스템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 및 유지보수 업무를 진행한다.
4) 전산기기 담당
주전산기(IBM P720, IBM 8286-41A, HP DL380P)와 부전산기(WIN2008 Server, 방화벽등),
시스템 S/W의 운영 및 관리업무를 진행한다.
5) 네트워크 운영 담당
본사 LAN망 관리 및 현장 통신망 연결 통제업무를 관리하며 네트워크 장비유지 보수 및 사내통신망 관리 업무를 진행한다.
(다) 인적자원의 새로운 과제
1) 전산담당 부서의 모든 인력은 사내정보화 시스템에 대한 전산업무에 관해 모두 숙지하고 있어야하며 네트워크 담당, 시스템 설계 담당, 데이터베이스 관리 담당 등에 구분없이 기본적인 기술적 지원이 가능해야 한다.
2) 신기술을 도입할 때 항시 적용 가능하도록 새로운 기술적인 능력을 배양하여야 한다.
(2) 소프트웨어 관리
소프트웨어 관련 계획 수립 및 관리 유지는 본 지침서 5.1항에 따른다.
(가) 시스템 소프트웨어
시스템 소프트웨어(System software)는 다른 프로그램들의 작동을 도와주기 위해 작성된 프로그램들의 모임이다.
1) 시스템 소프트웨어 역할
가) 시스템 소프트웨어(Compiler, Editor, File management utility 등)는 복잡하지만 명 확한 정보구조를 처리한다.
나) 운영체제(Operating system), 구성요소 드라이브(Component driver), 통신프로세스 (Communication processor)들은 대부분 확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처리한다.
2) 시스템 소프트웨어 영역
컴퓨터 하드웨어와의 상호작용으로 특성화되는데 이는 다중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방법, 스케줄링(Scheduling)을 요구하는 동시성(Concurrent)연산, 자원공유, 정교한 처리관리, 복잡한 데이터 구조, 다중 외부 접촉 영역등이 있다.
(나) 전산기술용 관리도구
1) 전산 시스템 개발 및 유지, 관리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개발자, 웹, 서버, 호스트(Host), 방화벽이 있다.
2) 개발자용은 사내 정보화 시스템 설계에서 구현 및 유지보수에 이르는 전반적인 정보화 시스템에 대한 개발과 관리 업무에 사용되는 관리도구이다. 주로 전산담당 부서에서 사 용하는 개발도구로서 시스템 개발 및 유지보수 업무를 진행하는 담당에게 필요하다.
3) 웹용은 대내외적 회사 이미지 개선과 홍보를 위한 홈페이지 제작용 관리도구이다. 홈페 이지에 수록될 자료를 수집하고 기획, 설계 운용하는 담당에게 필요하다.
4) 그밖의 서버용, 방화벽용, 사내 정보화 시스템에 대한 보호 및 효율적 운용을 위하여 사
용하는 관리도구이다. 주로 네트워크 담당이 네트워크 장비의 유지보수, 운용 및 사내
구분 | 목록 | 수량 | 사용기종 | 사용용도 |
개발자 | PowerBuilder10 | 2 | 개발자PC | C/S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개발언어 툴 |
Toad | 1 | 개발자PC | Database 프로그램 작성툴 | |
Golden 6.x | 1 | 개발자PC | 프로그램 개발문서 작성툴 | |
UltraEdit | 1 | 개발자PC | 프로그램 개발문서 작성툴 | |
웹(Web) | Photoshop CS6 | 2 | 웹프로그래머 | 홈페이지 이미지 제작툴 |
서버 (Server) |
UNIX(AIX5L) | 1 | IBM P720 | ERP DB운영에 필요한 OS |
UNIX(AIX6.1) | 1 | IBM 8286-41A | ERP DB운영에 필요한 OS | |
WIN2008 Std | 1 | IBM x3500 | C/S 응용프로그램 운영에 필요한 OS | |
WIN2012 Std | 1 | HP DL380P | 바코드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OS | |
SQLSvrStd 2014 | 1 | HP DL380P | 바코드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DATABASE | |
방화벽 | FortiGate 200D | 1 | Forti 200D | 외부 해킹에대한 시스템 보호 |
5.2 교육 관리
5.2.1 정보화추진 관련교육
(1) 교육계획 수립
(가) 전산기획 담당은 차년도 사업계획을 작성할 때까지 교육계획을 수립하여야 하며 이때 관 련 교육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사항은 해당 교육기관이 정한 교육계획을 참조하고 정해지 지 아니한 경우에는 월별로 예측하여 정한 후 추후 재확정한다.
(나) 교육계획을 수립할 때 차 년도 사업계획을 참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최대한 동 사업계 획에 부합할 수 있도록 교육내용을 적정 안분하여야 하고 세부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주전산기 관련 교육과정으로서 장비제조업체인 한국IBM주식회사에서 제공하는 차년도 교 육일정을 참조하여 필요한 교육을 부서원의 협의를 거쳐 작성한다.
2) 각종 서버 관련교육과정으로서 전산기기운영 담당이 각 서버운영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과정을 신청하며 부서원의 협의를 거쳐 작성한다.
3) 인터넷 및 통신망과 관련된 교육과정으로서 네트워트운영 담당이 해당업무를 수행하면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과정을 신청하며 부서원의 협의를 거쳐 작성한다.
4) 현재 전산담당 부서에서 사용중이거나 정보화 추진계획에 의거하여 향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프트웨어 및 이와 관련된 교육은 인터넷 및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필요하다 고 판단되는 교육정보를 취합 후 부서원의 협의를 거쳐 선별하여 작성한다.
5) 기타 전산운용에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각종 정보기술 및 이와 관련된 교육을 부서원의 협의를 거쳐 작성한다.
(다) 수립된 교육계획은년간 교육훈련 계획표를 작성하여 전산담당 부서장의 검토 후 차
년도 사업계획에 반영하고 해당 보고서의 보고가 완료되면 교육담당 부서와 예산담당 부
서에 문서로 통보하여 차년도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라) 교육계획에 대한 예산이 예산담당 부서에 의해 변동되는 경우 가감액에 의한 교육계획을 수정할 때 전산기획 담당은 (나)항에 의거하여 월별로 재작성해야 하며 전산담당 부서장 의 승인을 받아 차년도 전산 교육계획을 최종 확정한다.
(2) 교육 시행
(가) 기 작성된 교육계획 및교육훈련, 인식 및 적격성 절차서에 의거하여 교육시행을 해
야하며 해당 분기가 도래하기 전에 교육기관 및 교육과목, 그리고 교육기간 및 일시를
해당 월 교육예산의 한도 내에서 확정하여야 한다.
(나) 전항의 내용이 확정되면 교육 참가에 대한 내용을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문서를 작
성하여 전결규정에 따라 결재를 받아야 하며 교육담당 부서에 해당 내용을 문서로 통보
하여야 한다.
(다) 교육예산이 부족하거나 계획에 없는 교육을 수강하고자 할 때는 교육 참가보고를 할 때 추가 예산을 명기하여 보고해야 하며 예산담당 부서의 통제를 받아 예산을 배정받아야 하고 교육담당 부서에 해당 내용을 문서로 통보하여야 한다.
(라) 교육비는 자금담당 부서에서 수령하여 해당 교육기관에 납부해야 하며 이후 교육수강자는 성실히 해당 교육과정을 이수하여야 한다.
(3) 교육 결과 보고
(가) 해당 교육과정이 모두 종료되면 교육 수강자는 교육기관에서 발부하는 교육 수료증과 교육비 영수증을 전산기획 담당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나) 교육수강자는 해당교육을 이수한 날로부터 일주일내로교육참가 결과 보고서를 작성
해야 하며 전산기획 담당의 검토 거쳐 전산담당 부서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교육 유지관리
(가) 교육수강에 관하여 전산기획 담당은 해당 교육수강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이 기록된교 육 참가 결과 보고서를 유지하여야 한다.
(나) 교육수강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교육내용에 대하여 부서원들에게 전달해야 한다. 또한 교육내역을 개인별 교육 이력카드에 기록하여야 한다.
5.2.2 사내 정보화 시스템 운영 및 소양교육
(1) 사내 정보화 시스템 운영교육
(가) 교육계획 수립
1) 전산기획 담당은 차년도 사업계획을 작성할 때까지 사내 정보화 시스템을 운영하는데 필 요한 교육과정을 정하며 교육내용, 교육대상 및 대상자수 등을 월별로 예측하여 교육 계 획을 수립해야 한다.
2) 정보화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세부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작성한다.
가) 본사관리 시스템에 대한 교육과정으로서 본사에 신규 채용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 사담당 부서의 채용계획에 의거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나) 현장관리 시스템에 대한 교육과정으로서 현장에 신규 채용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 사담당 부서의 채용계획에 의거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다) 기타 사내 정보시스템의 변동 및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적용 등으로 추가교육이 필요 하다고 판단되면 전산담당 부서장의 검토를 거쳐 별도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3) 수립된 교육계획은년간 교육훈련 계획표를 작성하여 전산담당 부서장의 검토 후 차
년도 사업계획에 반영하고 해당 보고서의 보고가 완료되면 교육담당 부서에 통보하며 교
육예산이 소요되는 경우 예산담당 부서에 문서로 통보하여 차년도 예산에 반영 될 수 있
도록 한다.
4) 전산기획 담당은 교육계획에 대한 예산이 예산담당 부서에 의해 변동되는 경우 가감액에 의해 교육계획을 수정할 때 2)항에 의거하여 월별로 재 작성해야 하며 전산담당 부서장 의 승인을 받아 차년도 전산 교육계획을 최종 확정한다.
(나) 교육 시행
1) 기 작성된 교육계획 및교육훈련, 인식 및 적격성 절차서에 의거하여 교육시행을 해
야 하며 교육 시작 한 달 전까지 전산기획 담당은 교육장소 및 교육과목, 교안 그리고
교육기간 및 일시를 교육담당 부서에 문서로 통보하여 교육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2) 교육 교안의 경우 전산담당 부서장이 지정한 교육담당에 의해 교육목적에 적합하게 작성
하여 전산담당 부서장의 검토를 거쳐 완료한다.
3) 교육예산이 부족하거나 향후 예산초과가 예상되는 경우 사전에 해당교육에 대한결재문 서를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작성하여 전결규정에 따라 결재를 받아야 하며 이후
예산담당 부서의 통제를 받아 예산을 배정받아야 하고 교육담당 부서에 해당 내용을 문
서로 통보하여야 한다.
4)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은 자금담당 부서에서 수령하여 집행해야 한다.
(다) 교육 결과 보고
1) 전산기획 담당은 해당 교육과정이 모두 종료되면 일주일내로교육실시 기록서를 작성
해야 하며 전산담당 부서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 전산기획 담당은 교육에 소요된 비용을 영수증을 첨부하여 정산처리 해야 한다.
(라) 교육 유지관리
1) 전산기획 담당은 교육수강에 관하여 해당 교육수강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이 기록된교 육실시 기록서를 유지하여야 한다.
(2) 정보화 시스템 소양교육
(가) 교육계획 수립
1) 전산기획 담당은 차년도 사업계획을 작성할 때까지 정보화 시스템에 대한 소양교육과정 을 정하여 교육내용, 교육대상 및 대상자수 등을 월별로 예측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 정보화 시스템 소양교육의 세부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작성한다.
가) 건설 정보화 시스템의 주요내용 및 사용방법 등 우리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정보화 시스템에 대한 교육과정에 대하여 신규 채용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인사담당 부서의 채용계획에 의거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나) 인터넷 활용 및 당사 그룹웨어 시스템에 대한 교육과정으로서 신규 채용하는 직원들 을 대상으로 인사담당 부서의 채용계획에 의거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다) 우리회사에서 중점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OA용 소프트웨어 툴(Tool)에 대한 교육과정 으로서 온라인 교육기관을 활용하여 전 직원들이 교육받을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여 교육계획을 작성한다. 이 때 계약기간, 교육과목, 실시간 정원수, 교육비 등을 업체 별로 사전에 조사 및 분석하여 교육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라) 기타 사내 정보시스템의 변동이나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적용 등으로 정보시스템에 대 한 추가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전산담당 부서장의 검토를 거쳐 별도의 교육과정 에 대한 교육계획을 수립한다.
3) 수립된 교육계획은년간 교육 계획표를 작성하여 전산담당 부서장의 검토 후 차년도
사업계획에 반영하고 해당 보고서의 보고가 완료되면 교육담당 부서에 통보하며 교육예
산이 소요되는 경우 예산담당 부서에 문서로 통보하여 차년도 예산에 반영될수 있도록
한다.
4) 전산기획 담당은 교육계획에 대한 예산이 예산담당 부서에 의해 변동되는 경우 가감액에 따라 교육계획을 수정할 때 2)항에 의거하여 분기별, 월별로 재작성해야 하며 전산담당 부서장의 승인을 받아 차년도 전산 교육계획을 최종 확정한다.
(나) 교육 시행
1) 전산기획 담당은 기 작성된 교육계획 및교육훈련, 인식 및 적격성 절차서에 의거하여
교육시행을 해야 하며 교육시작 1개월 전까지 교육장소 및 교육과목, 교안 그리고 교육
기간 및 일시를 교육담당 부서에 문서로 통보하여 교육준비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2) 교육 교안의 경우 전산담당 부서장이 지정한 교육담당에 의해 교육목적에 적합하게 작 성하여 전산담당 부서장의 검토를 거쳐 완료한다.
3) 외부교육기관을 이용한 온라인 교육의 경우는 다음과 같이 처리한다.
가) 교육개시 1개월 전까지 전 직원을 대상으로 공지를 하여 희망강좌 및 인원을 확정한 후 해당교육에 대한 시행 품의를 문서로 보고하여 전결규정에 따라 결재를 받아야 한 다.
나) 월별로 해당 교육과목에 대한 수강자 명단 및 수강 진행사항을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문서로 작성하여 전산담당 부서장 및 관리부서 임원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4) 교육예산이 부족하거나 향후 예산초과가 예상되는 경우 사전에 해당교육에 대한결재문 서를 작성하여 전결규정에 따라 결재를 받아야 하며 이후 예산담당 부서의 통제를 받
아 예산을 배정받아야 하고 교육담당 부서에 해당 내용을 문서로 통보 하여야 한다.
5)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은 자금담당 부서에서 수령하여 집행해야 한다.
(다) 교육 결과 보고
1) 전산기획 담당은 해당 교육과정이 모두 종료되면 일주일 내로 교육실시 기록서를 작
성해야 하며 전산담당 부서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2) 전산기획 담당은 교육에 소요된 비용을 영수증을 첨부하여 정산처리 해야 한다.
(라) 교육 유지관리
1) 전산기획 담당은 해당 교육수강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이 기록된 교육실시 기록서를
유지하여야 한다.
5.3 업무전산화 관련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5.3.1 업무시스템 개발 신규 추진
(1) 정보화추진 업무 분석
전산기획 담당은 5.1 항의 정보화추진 계획에 따라 업무전산화를 하기 위하여 업무분석을 실시한다.
(가) 업무분석 개요
1) 업무분석의 목적
가) 필요한 데이터 유형을 빠짐없이 정의한다.
나) 업무기능이 포함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정의한다.
다) 프로세스에 필요한 데이터를 연결한다.
라) 프로세스의 실행순서를 결정한다.
마) 프로세스가 데이터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한다.
바) 업무시스템 정의 및 시스템 설계를 계획한다.
사) 업무의 분명한 이해와 업무 행위의 상호관계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제공한다.
자)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기업에서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구조적인 골격을 제공한다.
차) 분리되어 만들어진 시스템이 통합되어서 작업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카) 컴퓨터와 정보 네트워크,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가능한 효율적으로 활용하도록 기업 에서 처리과정과 진행 절차를 다시 고려하는 계기를 준다.
타) 정보 중심의 행위와 시스템 설계를 위해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요구사항을 정의한 다.
파) 응용설계 부분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도록 자료를 만든다.
2) 분석사항
가) 업무개발의 취지, 기본사항 및 예외사항 등
나) 입․출력 자료 목록 및 관련 서식 수집 분석
(양식의 표준화 정도 및 표준화 선행 필요성 등)
다) 자료량 분석(기초․변동 자료량, 변동주기, 활용빈도, 자료의 발생처, 관련 업무파악 등)
라) 전산담당 부서와 업무담당 부서의 인력 및 기타 전산화에 필요한 환경조사
3) 고려사항
가) 개발된 업무의 범용성 확보를 위하여 동일업무 또는 유사업무를 처리하는 타 부서까 지 대상으로한 폭넓은 자료수집
나) 부서간 동일업무의 처리절차와 사용양식의 차이점 조사 등 심층분석
다) 표준화 가능성 및 표준화를 할때 제기될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 강구
4) 정보화추진 업무 분석을 위해서는 업무담당 부서와의 면담을 통해서 업무담당 부서의 시 스템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한다.
가) 전산담당 부서는 업무담당 부서로부터 전산화해야하는 업무의 절차, 구조, 정보계획 등을 받고 분석한다.
나) 전산담당 부서는 업무담당 부서와의 면담내용을 ‘회의록’에 작성하여 업무전산화
과정에서 참조하도록 한다.
다) 업무담당 부서는 전산담당 부서로부터 업무분석을 위하여 필요한 자료요구 등 업무협 조를 요청받은 때에는 적극 협조하여야 한다.
(나) 데이터 분석
1) 서브젝트 영역(Subject Area) 파악 및 서브젝트 영역도 작성
가) 서브젝트 영역 정의 : 데이터의 가장 상위의 분류로서 데이터의 자연적인 그룹핑과 업무주관 부서에서 관심을 갖는 데이터의 집합을 말한다.
나) 서브젝트 영역 도출방법
① 명사를 찾는다.
② 기능의 이름을 찾는다.
③ 각 기능이 해당 서브젝트 영역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한다.
다) 서브젝트 영역도 예
라) 서브젝트 영역과 업무기능을 연관 짓는다.
3) 실체(Entity) 및 관계타입을 설정하고 실체 관계도를 작성한다.
가) 실체의 도출방법
① 데이터를 보관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물의 이름을 찾는다.
② 사용자와의 면담을 통해서 명사를 정리한다.
③ 현업에서 사용하는 문서들을 조사한다.
④ 기존 파일을 조사한다.
⑤ 모든 실체를 도출해 내야한다.
나) 실체의 명명
① 업무담당 부서에서 사용하는 이름을 사용한다.
② 간단한 단수 명사로 부여한다.
③ 성격을 명확히 표현한다.
④ 동의어가 여러개 사용되는 경우 대표명사를 결정, 공지한다.
⑤ 별명은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만 별도 기재한다.
다) 실체목록을 작성한다.
라) 관계타입 설정
① 관계타입은 두 실체를 연결하는 업무적 연관성을 나타낸다.
② 멤버쉽(Membership), 카디낼리티(Cardinality), 선택성(Optionality)을 도출한다.
③ 관계타입은 사용자에게 의미가 있고 간결한 용어를 사용하며, 관계를 표시하는 선의 상-->하, 좌-->우로 기술한다.
마) 실체 관계 도표 작성 방법
① 실체를 배열한다.
② 관계 타입을 연결한다.
③ 관계 타입 멤버쉽을 표기한다.
④ 카디낼리티를 결합한다.
⑤ 선택성을 결합한다.
바) 실체관계도 작성 예
4) 속성 및 도메인 정의
가) 속성이란 실체의 성격을 설명하는 사실들로 실체에 관한 정보를 구성하는 더 이상 분 리할 수 없는 최소 단위의 데이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직원에 대한 속성은 사번, 성 명, 생일, 성별, 주소, 전화번호,... 등이 있다.
나) 속성의 종류는 기본속성(Basic), 파생속성(Derived), 설계속성(Designed) 이 있다.
다) 속성의 명명규칙은 다음과 같다.
① 업무상 의미있는 업무담당 부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사용한다.
② 실체명 + 수식어 + 통상어 형식의 표준형식을 사용한다.
③ 소유격 사용을 배제한다.
④ 약어 사용을 배제한다.
⑤ 핵심 단어만 사용한다.
⑥ 통상어인 일자, 시간, 코드명, 번호,... 등을 사용한다.
라) 속성 도메인(Attributes domain)이란 속성이 가지는 데이터의 범위를 그룹핑한 개념 이다. 종류로는 Key구분, Null허용, Type, Length, Format, Range, Check, Remark, Default value, Derived algorithm 등이 있다.
마) 속성도메인 정의표 사용 예
실체명 | 직원 | 어커런스 발생빈도수 | 200건 (년/월) | 성장율 | 15%(년/월) | ||||||
속성 | KEY | NULL | TYPE | LENGTH | FORMAT | RANGE | CHECK | DEFAULT | ALGORITHM | REMARK | |
사원번호 | PK | NOT | CHAR | 6 | |||||||
성명 | CHAR | 6 | |||||||||
생일 | DATE | ||||||||||
부서코드 | FK | NUM | 4 | ||||||||
우편번호 | CHAR | 7 | 999-999 | ||||||||
주소 | CHAR | 50 | |||||||||
전화번호 | CHAR | 16 | |||||||||
발생장소 | CHAR | 1 | 1 | 1 | 1:회사 2: 집 |
||||||
재산 | NUM | 12 | 1억-2억 | 1억 |
5) 식별자 및 업무규칙 정의
가) 주 식별자(Primary Identifier)의 속성
① 동일한 실체 내에서 하나의 실체를 다른 실체들과 구별할 수 있도록 실별해 주는 속성
② 하나의 속성 또는 여러 개의 속성 결합
③ 실체 내에 반드시 1개 이상 존재한다.
④ 식별자의 속성 값은 NULL일 수 없다.
나) 부분 식별자(Alternate Identifier)는 후보 식별자 중에서 주식별자로 지정되지 않은 속성이 있다.
다) 외부 식별자(Foreign Identifier)는 실체간에 관계 타입을 결정해주는 속성을 갖는 다. 관계에 의한 종실체에 위치하며, 주 실체의 주 식별자와 동일하다.
라) 업무규칙(Business Rules)의 정의는 관계 타입의 무결성을 강조한 개념으로 하나의 실체 내에서 실현값(Occurrence) 하나 하나가 입력, 삭제되거나 외부 식별자가 변경 되었을 때 계속적인 관계 유지 방법을 정의한다. 입력규칙은 종 실체에 실체가 입력 될 때 적용하고, 삭제규칙은 주 실체의 실체가 삭제될 때 적용한다. 그리고 업무규칙 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 제품을 선택한다.
(다) 정규화(Normalization) 검증
1) 정의 : 중복 및 이상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실체를 분할하는 과정이다.
2) 정규화 검증의 목적
가) 데이터 모형의 단순화
나) 데이터 모형의 일관성 유지
다) 속성의 배열 검증
라) 실체, 하부유형, 속성의 누락여부 검증
마) 데이터 구조 안정성의 최대화
3) 단계
가) 1차 정규화는 반복적이거나 여러 개의 값을 가질 수 있는 속성을 제거한다.
나) 2차 정규화는 주 식별자에 종속되지 않은 속성을 제거한다.
다) 3차 정규화는 비 식별자에 종속되는 속성을 제거한다.
라) 4차 정규화는 특정 속성 값에 따라 선택적인 속성을 제거한다.
4) 정규화 이후 데이터 모델 확정은 다음 내용에 따라서 행한다.
가) 실체는 주 식별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속성을 가져야한다.
나) 실체 내의 식별자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다) 실체는 단지 한 개의 서브젝트 영역에만 속해야 한다.
라) 실체는 최소한 한 개 이상의 관계를 가져야 한다.
마) 관계 타입은 속성을 갖지 않아야 한다.
바) 관계 타입은 카디낼리티가 M:M일 때는 다시 한번 조사한다.
사) 관계 타입의 카디낼리티가 1:1일 때는 통합을 고려한다.
아) 속성은 단지 하나의 실체에만 속해야 한다.
자) 속성이 속성을 가져서는 안 된다.
(라) 업무활동 분석
1) 업무기능 분해
가) 업무기능의 특성
① 기업의 사명을 수행하기 위한 측면을 함께 지원하는 행위(activity)들의 모임이다.
② 기능은 지속적이고 계속적이다.
③ 기능은 조직적인 구조에 기초하지 않는다.
④ 기능 범주는 어떻게 하는 것이 아니고 무엇을 하는 것이다.
⑤ 기능의 이름은 명사나 동명사이어야 한다.
나) 업무기능의 분해방법
① 전문성에 의한 분해로 상위 업무기능을 지원하는 업무 측면을 따라 분해한다.
② 생명주기에 의한 분해로 상위 업무 기능의 업무 흐름에 따라 분해한다. 하위기능의 합은 상위 기능의 합과 일치한다.
다) 업무기능의 식별 규칙
① 수행 중이거나 계획 중인 업무를 포함한다.
② 4개에서 100개 정도 도출한다.
③ 상세화 수준의 균형을 유지한다.
④ 조직 단위 이름은 가급적 사용을 금한다.
⑤ 데이터 모델의 서브젝트 영역과 대응된다.
⑥ 하향식(Top-Down)으로 분해한다.
2) 프로세스 분해
가) 프로세스의 특성
① 프로세스는 기업에서 반복적으로 실행되는 명시된 행위(Specified Activity)이다.
② 프로세스는 입력과 출력에 의해서 기술될 수 있다.
③ 프로세스는 시작과 끝을 정할 수 있다.
④ 프로세스는 조직적인 구조에 기초하지 않는다.
⑤ 프로세스는 무엇을 할 것인가를 정의한다.
⑥ 프로세스의 이름은 동사로 시작된다.
나) 업무 프로세스의 특성
① 실행할 수 있는 단위로 정의된 업무 활동이다.
② 실행시 데이터에 대한 입력과 출력이 존재한다.
③ 의미있는 업무 결과를 산출하고 업무를 일관된 상태로 유지한다.
다) 업무 프로세스 분해방법
① 5.1항의 산출물을 활용한다.
② 사용 부서의 담당과 면담한다.
③ 주요 제품 또는 자원에 대한 업무 주기를 고려한다.
④ 이름은 수식어 + 명사 + 동사로 표현한다.
⑤ 주로 기능을 분해할 때 사용한 생명주기에 의한 방법으로 분해한다.
라) 업무 프로세스 분해규칙
① 각 기능은 단위 프로그램이 될 수 있는 프로세스까지 점진적으로 분해한다.
② 하위 프로세스들의 합은 상위 프로세스를 완전히 설명해야 한다.
③ 각 프로세스의 이름은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④ 프로세스는 최소한 2개 이상으로 분해한다.
⑤ 1개의 업무활동은 3개에서 7개 정도로 분해한다.
마) 프로세스 분해도의 예
(마) 분석 모델 확정
1) 완전성 검사
가) 프로세스, 실체, 속성들이 모두 발견되었는가를 살핀다.
나) 실체, 속성의 각각에 대해 생성, 조회, 수정, 삭제하는 프로세스가 모델에 어떻게 나 타나는지 파악한다.
다) 업무영역 모델과 현재 시스템 모델을 다음 내용으로 비교한다.
① 실체관계도를 비교한다.
② 속성 리스트를 비교한다.
③ 누락된 요소를 찾아본다.
④ 기재한 표현들을 찾아본다.
라) 현재 시스템에서 취약점을 찾아 기록한다.
2) 정확성 검사
가) 속성들이 올바른 실체로 그룹핑 되어있는지 조사한다.
나) 모델 중에 불필요한 요소는 없는지 조사한다.
다) 사용자가 보기에 잘된 모델인지 조사한다.
라) 작업 내용은 정규화 검사, 프로세스 의존성 검사, 중복성 검사이다.
마) 중복된 자료는 모든 실체, 관계, 속성들이 필요한 것이고, 구별되어 있는지 조사한 다.
바) 중복된 행위는 구조의 다른 부분에 몇 개의 프로세스가 동일한지 조사한다.
사) 정규화 중 속성은 올바른 실체에 할당되었는지 조사한다.
아) 모델이 무결하고 표준을 따랐는지 조사한다.
자) 양이 적절하게 평가되었는지 조사한다.
차) 작업 전체는 다른 사람과 사용자에게 작성자가 이해하는 것과 같이 설명할 수 있는지 조사한다.
3) 안정성 검사
가) 추후 업무 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다.
나) 업무상 일어날 수 있는 모든 변경 사항을 조사한다.
다) 이러한 변경 사항이 분석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다.
라) 가능한 변경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모델을 수정한다.
마) 안정성 검사에는 특별한 규칙이 없다.
4) 업무시스템 정의
가) 목적 : 각 프로세스의 범주와 각 프로세스를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의 특성을 정의한 다.
나) 위의 검사들을 통하여 분석 모델을 확정짓고 정보화 시스템 설계단계로 넘어간다.
(2) 정보화 시스템 통합설계
설계업무 담당은 정보화 업무분석 단계에서 분석되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다음의 단계와설 계 및 개발 절차서의 절차에 따라 시스템 통합설계를 한다.
(가) 시스템 설계 개요
1) 정의된 업무시스템을 어떻게 구현할 것인가를 구체적으로 설계한다.
2) 사용자와 컴퓨터 사이의 상호작용을 정의한다.
3) 데이터 모델을 물리적 데이터베이스로 전환한다.
4) 업무처리절차(프로그램 로직)를 설계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뷰, 전산 입출력 양 식)를 설계한다.
5) 프로그램 사양서를 작성하고, 물리적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6) 시스템 성능과 효율성을 검토하며, 프로그램 작성 원칙 수립 및 교육을 수행한다.
(나) 데이터 구조 설계
1) 데이터 구조 설계 과정
2) 논리적 데이터 구조 전환
가) 테이블 정의는 각 실체에 대해 하나씩의 테이블을 정의한다.
('CREATE TABLE CUSTOMER....')
나) 컬럼 정의는 실체의 각 속성에 대해 대응하는 테이블에 하나의 컬럼으로 정의한다.
CREATE TABLE CUSTOMER (CUSTOMER-ID.... , NAME.... , ADDRESS.... , TELNO....)
다) 논리적 데이터 구조 전환의 내용
3) 논리적 데이터 무결성 전환
가) 실체 무결성 전환으로 실체의 주 식별자에 대한 논리적 성질(Uniqueness, Disallowa_ nce of Null, Minimality)을 해당 DBMS에 적용한다.
나) 참조 무결성 전환으로 실체간의 관계에 대한 참조 무결성을 해당 DBMS에 적용한다.
다) 속성 무결성 전환으로 속성 업무규칙(도메인, 연쇄작용)을 해당 DBMS에 적용한다.
4) 성능향상을 위한 튜닝설계
가) 액세스 메커니즘 튜닝
메커니즘 | 특 성 | 선 정 기 준 |
스캐닝 (Scanning) |
주어진 요구조건과 일치하는 행(Row) 만을 찾기위해 전체 를 순차적으로 검색 |
. 소규모 테이블(6블록 이내) . 중,대형 테이블이나 적중률이 20%이상 보장되는 경우 . 일괄(Batch) 처리시 |
클러스터링 (Clustering) |
특정 컬럼값에 의해 미리 결정된 순서로 행(Row)을 저장 하여 검색 |
. 중,대형 테이블이(6블록 이상) . 같은 순서로 빈번히 정렬(Sort) . 특정 컬럼에 대해 조건 검색이 자주발생 . 입력, 삭제가 별로 없음 . 클러스터링을 결정하는 컬럼에 대한 수정이 별로 없음 |
해싱 (Hashing) |
컬럼 내의 데이터값에 해쉬 함수를 적용, 변환하여 테이블내의 행(Row)에 대한 논리 적 주소를 얻어서 검색 |
. 중,대형 테이블이(6블록 이상) . 특정 행(Row)에 대해 랜덤하게 빈번히 엑세스 . 조건 검색내에 컬럼에 대한 불연속적인 값을 지정 . 해쉬 키에 대한 수정이 별로 없음 |
나) 인덱스에 의한 튜닝
① 테이블 내의 컬럼의 값이 대응되는 행(Row)의 논리적 주소와 연관 시켜주는 별도의 저장구조로 성능향상의 요구 충족을 위해 테이블 내에 인덱스의 추가/삭제를 결정한 다.
② 테이블 선정 기준
㉮ 중대형 테이블(6블럭 이상)
㉯ 적중률(Hit Ratio)이 20% 미만
㉰ 다른 테이블과 결합(Join)이 빈번히 발생하여 불필요한 스캔(Scan)을 최소화하고 자 할 경우
㉱ 인덱스 추가에 따른 부하(Overhead)에 부담이 없다고 판단될 때
③ 컬럼 선정 기준
㉮ 컬럼의 분포도가 10 ~ 15 % 이하인 컬럼
㉯ 외부 식별자는 가능한 한 인덱스 생성
㉰ SELECT 문의 WHERE 절에서 자주 조건에서 사용되거나 ORDER BY, GROUP BY에 자주 등장하는 컬럼
다) 데이터 중복에 의한 튜닝
① 데이터의 중복성을 감수하고서라도 성능 면에서 필요할 때 중복 데이터 추가를 고려 한다.
② 실제 존재하는 컬럼의 복사를 한다. 해당 테이블 내에서 빈번히 또는 아주 중요하게 요구되는 컬럼과 복사된 컬럼의 도메인을 원래 컬럼과 동일하게 지정한다.
③ 추출 컬럼에 의해 멀티 테이블 엑세스를 줄일 수 있는 경우와 복사한 컬럼의 변화에 따른 자동적인 연쇄작용이 마련된 경우 존재하는 컬럼으로부터의 추출을 수행한다.
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 재정의에 의한 튜닝
구 분 | 선 정 기 준 |
테이블제거 | . 일정한 기간 후에도 새로운 정보가 추가되지 않고 어떤 자료요구에 대해서도 참고되지 않는 경우 |
중복 테이블 추가 | . 빈번하거나 중요한 요구에 신속히 처리해야 하는 경우(Subset) . 요약, 추출 자료만을 포함하는 요구에 대처할 경우(derived) |
테이블 분할 | . 각기 다른 사용자 그룹이 테이블 내의 특정 Subset만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 비식별자류 컬럼이 세그먼트 단위로 분할 지정된 테이블 |
테이블 조합 | . 1:1 관계의 테이블 . 같은 Supertype을 공유하는 SubType 테이블간의 결합(Join)이 자주 발생하는 경우 |
(다) 시스템구조 설계
1) 시스템구조 설계작업 구성도
2) 설계표준 수립
가) 보안관리 : 사용자 ID와 비밀번호를 부여하고, 사용자 권한을 설정하여 사용여부를 점검할 수 있게 한다.
나) 명명규칙 : Table, View, Stored procedure, Temporary table, Trigger, View, 프로 그램 등의 명명규칙을 세운다.
다) 아이콘 및 기능키 : 아이콘과 기능키의 표준을 정한다.
예) 신규(F2) : 화면을 Clear 하고 신규자료를 입렬할 수 있는 대기 상태
저장(F3) : 자료를 DB에 Insert 또는 Update
라) 표시특성 : Font, Size, Bold, Background color 등의 표시특성의 표준을 정한다.
마) 메시지 : 프로그램 실행중 뿌려질 메시지의 코드 및 내용의 표준을 정한다.
바) 템플릿 : 화면 및 출력물의 템플릿 표준을 정한다.
3) 사용자 뷰 작성
가) 템플리트를 100% 활용한다.
나) 사용자에게 적합한 화면/장표를 설계한다.
다) 현재 사용중인 양식과 유사하게 용어 및 필드순서를 설계한다.
라) 중요한 데이터 필드부터 우선순위를 정하여 좌측상단으로부터 이동하기 편리하게 배 치한다.
마) 너무 복잡하지않게 설계한다.
바) 설계 후 반드시 업무담당과 검증을 실시한다.
사) 검증완료 후 반드시 중요부분을 선택하여 프로토타입을 구축하여 업무담당과 검증을 실시한다.
4) 시스템 구성도 작성
가) 업무분석 단계에서의 프로세스 분해도를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도를 작성한다.
프로세스 분해도에 빠진 집계처리, 필요사항 등을 추가한다.
나) 시스템 구성도의 예
5) 프로그램 사양 작성
가) 프로그램ID, 프로그램명, 프로그램개요, 화면필드설명, 처리로직설명 ... 등의
프로그램 사양을 작성한다.
나) 프로그램 사양 작성 예
구 분 | 내 역 |
프로그램 ID | PAY10101 |
프로그램 명 | 인사기록사항 정보 |
프로그램 개요 | 사원 개개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 입력 |
프로토타입 유형 | A형 |
화면필드 설명 | 날짜 필드는 YYYY/MM/DD로 표시 |
관련 ERD | |
처리 로직 설명 | 사원기본사항을 입력하면서 경력/학력/가족사항 등을 동시에 입력하도록..... |
특기사항 | 부서가 없는 사원은 입력 안됨 |
다) 프로그램 사양과 함께 프로그램 목록을 작성한다.
6) 모형(Prototype) 개발
가) 모형(Prototype) 의 특성
① 원하는 시스템이나 시스템의 부분을 빠르고, 개략적으로 구축하는 기법이다.
② 본격적인 시스템 개발에 임하기 전에 실사용자에게 미리 모형을 보여주는 도구이다.
③ 적은 노력으로 수정이 가능한 유연성이 있다.
④ 시스템의 전체를 표현할 필요가 없는 불완전성을 가지고 있다.
⑤ 설계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한 모형이다.
⑥ 문제의 해결책을 대충 빨리 찾는 방법이 있다.
⑦ 프로그램 담당과 프로그램 담당간의 시스템 개발에 필요한 표준규약이다.
⑧ 프로그램 담당과 실 사용자간의 의사소통 도구이다.
⑨ 성능은 높지않다.
⑩ 화면이나 보고서 양식을 실 사용자에게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⑪ 인간과 기계의 인터페이스를 모형화한 것이다.
⑫ 시스템에서 사용할 기능을 설명하고, 확정한다.
나) 모형을 위한 도구
① 4세대 언어, 코드생성기
다) 모형을 위한 절차
① 목적과 범위를 결정한다.
② 누가 모형을 검토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③ 누가 모형을 만들 것인가를 결정한다.
④ 모형 도구를 선택한다.
⑤ 분석이 완료되었으면 자료를 모형도구에 넣는다.
⑥ 모형을 발전시킨다.
⑦ 사용자 검토를 통해서 변화를 요구받은 내용을 모형에 다시 적용시켜 발전시킨다.
⑧ 사용자의 기대에 만족스러울 때까지 모형을 진화시킨다.
라) 모형 구축
① 모형도구는 명확한 구조적인 설계를 적용해야한다.
② 처음에는 단순하게 만들고 계속 추가한다.
③ 모형의 설계과정에서 실무자의 창조적인 측면을 적용할 수 있어야한다.
④ 점검자들은 모형의 확장을 모형 구축자와 정규적으로 확인한다.
마) 모형의 효과
① 품질보증
최대한의 오류를 감소시킨다.
② 새롭거나 갑작스러운 사용자 요구의 수용
사용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변할 수밖에 없는 많은 요구를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 적극 수용이 가능하다.
③ 응용 소프트웨어 유지보수 요구의 평가
현업 부서의 개선 및 추가요구에 대한 타당성 조사 및 설득용 도구로 활용가능하다.
④ 개발과 유지보수의 비용절감
요구분석의 정확성은 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고 유지보수의 횟수를 감소시키므로 전체 적인 비용절감 효과가 있다.
⑤ 생산성 향상
개발기간을 단축시키기보다는 유지보수 빈도의 절감으로 프로그래머의 생산성 향상
(라) 설계검증
1) 완전성검증
프로그램과 테이블이 모두 설계되었는지 검증한다.
2) 정확성검증
업무시스템 체계와 프로젝트 표준을 준수하였는지를 검증한다.
3) 유용성검증
사용자의 재검토, 설계의 안정성, 응답속도 예상 등을 검증한다.
(3) 프로그램 구현
(가) 프로그램 담당은 업무분석 및 설계단계에서 도출된 프로그램 사양서에 맞게 우리회사 전산담당 부서에서 사용하고 있는 프로그램 툴(Tool)을 이용하여 화면과 프로그램 소스 를 작성하고 실행파일을 생성한다.
(나) 프로그래밍 실시 전 준비사항
1) 설계표준, 프로그램사양서, 사용자 뷰, 시스템구성도, 실체관계도, 테이블명세, 프로그 램 목록, 업무흐름도 등
2) 프로그램 담당이 지켜야할 규칙
가) 설계업무 담당과 반드시 프로그램 사양을 면밀히 검토한다.
나) 프로토타입 작성 시 표준을 반드시 지켜야하며, 만일 프로토타입 자체 결함이 발견되 거나 추가기능이 필요한 경우는 반드시 설계업무 담당의 사전승인을 받아 진행한다.
다) 프로그램 소스내에 반드시 내부문서를 자세히 기록한다.
라) 프로그램 소스에 대한 버전관리를 철저히 한다.
(개인별로 별도 디스켓이나 다른 폴더에 백업(Backup) 실시).
마) 프로그램별 문제점 및 처리내역은 프로그램 사양서에 정리한다.
바) 설계업무 담당 및 동료 프로그램 담당과 협의하여 다른 프로그램 담당과 똑같은 문제 를 가지고 시간을 소비하지 않도록 정보를 공유한다.
(4) 테스트
(가) 테스트 진행 절차
1) 테스트는프로세스, 제품의 측정 및 모니터링 절차서의 절차와 다음에 기술되는 절차
에 의해 시행한다.
(나) 단위테스트
1) 프로그램 담당은 프로그램 코딩이 끝난 시점부터 24시간 이내에 단위테스트 계획을 세우 고 현업에서 발생 가능한 데이터를 최소한 5개 이상씩 준비하여 단위테스트를 실시하면 서 설계업무 담당에게 검수를 받고 단위테스트 결과를 단위테스트 점검표에 기입한
다.
2) 단위테스트의 목적은 프로그램 내의 논리의 정확성을 검사하고 정의된 프로그램 사양대 로 수행 되었는지와 정의된 프로토타입의 표준이 제대로 준수되었는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다) 통합테스트
1) 설계업무 담당은 단위 테스트 완료 후 1주일 이내에 통합테스트 계획을 세우고 업무담당 과 협의하여 데이터 범위를 정하여 데이터를 준비하고 통합테스트를 실시 하면서 전산담 당 부서장에게 검수를 받고 통합테스트 결과를통합테스트 점검표에 기입한다.
2) 통합테스트의 목적은 프로그램 간의 연결이 정확한지를 검사하고, 시스템간의 통합(인터 페이스)이 완전한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라) 인수테스트
1) 프로그램 담당/설계업무 담당/전산담당 부서장은 통합테스트의 완료후 2주 내에 인수테 스트 계획을 세우고 통합테스트에서 사용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수테스트를 실시하면 서 업무담당에게 검수를 받고 인수테스트 결과를 인수테스트 점검표에 작성한다.
2) 인수테스트의 목적은 완성된 시스템을 업무담당과 함께 검증하여 프로젝트의 종료를 위 한 준비를 하는 것이다.
(마) 각 테스트 과정에서 오류가 있을때는 프로그램 구현단계부터 다시 시작한다.
(바) 형상관리(DEVEYE)를 통하여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기록을 남기며, 프로그램 변경 요청 서와 프로그램 개발 현업 TEST 완료 보고서는 현업 부서장의 결제를 받아 첨부하도 록 한다.
(사) 개발자와 이관자는 업무분장표에 따라 형상관리(DEVEYE) 아이디에 권한이 나누어져있다.
(아) 테스트 서버(183.100.193.15)에서 운영 서버(183.100.193.10)로 이관은 이관담당자만 이 관할수 있으며 전결권자의 검토 및 승인을 득하고 운영환경에 이관한다.
(자) 개발자는 데이터 조회권한만 가지고있으며, 데이터 직접 변경이 필요한 경우 DB접근제어 (DBSAFER)를 통하여 기안서를 작성후 전결권자의 검토 및 승인을 득한후 데이터 변경이 된다.
(5) 프로젝트 가이드 작성 및 보고
프로그램 담당은 프로젝트 완료 후 기존 업무별로 작성된운영자 가이드와사용자 가이
드를 참조하여 신규로 완료한 프로젝트의 사용자 가이드와 운영자 가이드를 작성하고 종
료보고서를 작성하여 전산기획 담당의 검토를 거쳐 전산담당 부서장에게 보고를 한다.
(가) 사용자 가이드 내용
1) 시스템 개요, 기대효과
2) 시스템 FLOW
3) 화면구성도
4) 화면설명서
5) 출력내역서
(나) 운영자 가이드 내용
1) 시스템 개요, 기대효과
2) 시스템 사용 환경
3) 전체 업무처리 흐름도
4) 업무별 처리 흐름도
5) 화면구성도
6) 시스템 E-R도
7) 프로그램 일람표
8) 테이블 일람표
9) 테이블 LAYOUT
(다) 종료보고서
1)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문서를 작성하여 프로젝트 종료보고를 하면서 사용자 가이드
와 운영자 가이드를 첨부한다.
(6) 시스템 사용 권한 부여
(가) 프로그램 담당은 모든 시스템의 개발 완료 후 시스템관리에 프로젝트와 개별 프로그램을 등록하고 각각의 권한등급을 부여한다.
(나) 각 부서의 업무담당은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권한을 자사 그룹웨어에서권한변경 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하여 전산담당 부서로 신청하여야 한다.
경로 :사내게시판 ☞ 게시판 ☞ 전사게시판 ☞ 자료실
(다) 각 업무별 프로그램 담당은 시스템관리에서 각각의 시스템 사용 권한부여를 해준다.
5.3.2 업무시스템 유지보수
(1) 업무 개선 요청 및 원인발생
(가) 각 업무별 프로그램 담당은 업무담당의 프로그램 추가 및 개선의 요청이 있을 때 업무담 당으로부터 추가 및 변경 요청내역이 기록된협조문서양식과 추가 및 변경 상세 내역
이 기록된 문서를 붙임으로 받아 설계업무 담당과 전산기획 담당의 검토를 받고 전산담당
부서장의 승인을 받는다.
(나) 각 업무별 프로그램 담당은 각 업무의 실행 도중 개선의 필요성이 있다는 판단이 있을때 현업 담당과 협의하여 개선여부를 결정한 후 업무담당으로부터 추가 및 변경 요청내역이 기록된협조문서양식과 추가 및 변경 상세 내역이 기록된 문서를 붙임으로 받아 설계
업무 담당과 전산기획 담당의 검토를 받고 전산담당 부서장의 승인을 받는다.
(2) 변경 업무 분석
(가) 전산기획 담당은 업무담당과 충분한 협의를 하면서회의록을 작성하고 5.3.1 항의 업
무분석 단계 절차를 참조하여 변경 업무분석을 실행한다.
(나) 프로그램 추가가 이루어져야 할 경우 기존의 프로세스 분해도를, 실체나 속성의 변경이 있어야 할 경우 실체관계도 및 속성 도메인 정의표 등을 재 작성한다.
(3) 변경 업무 설계
(가) 설계업무 담당은 변경 업무 분석 단계에서 변경되어진 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시스템 변 경 업무 설계 작업을 실시한다.
(나) 5.3.1 항의 시스템 통합설계 단계 절차와설계 및 개발 절차서의 절차에 따라 실시한 다.
(다) 테이블의 추가가 있을 경우 신규테이블을 생성하고 변경이 있을 경우 기존 테이블에 새 로운 속성을 추가하고 기존의 데이터를 변경된 테이블에 맞게 전환한다.
(라) 프로그램 추가의 경우 사용자 뷰를 작성하고 기존 시스템 구성도를 변경하고 프로그램 사양을 작성하며 모형을 구축한다.
(마) 프로그램 변경의 경우 사용자 뷰의 변경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에는 사용자 뷰를 재 작성 한다.
(4) 변경 프로그래밍
(가) 각 업무 프로그램 담당은 변경 업무 분석 및 변경 업무 설계 단계에서의 결과에 따라 프 로그램 소스를 변경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나) 5.3.1 항의 프로그램 구현 단계 절차를 참조하여 실시한다.
(5) 테스트
(가) 5.3.1 항의 테스트 단계 절차를 참조하여 실시한다.
(6) 프로젝트 가이드 변경 및 보고
(가) 프로그램 담당은 프로그램 변경 완료 후 사용자 가이드 및 운영자 가이드의 변경 작업을 하고 변경 업무 작업 완료 보고서를 작성한다.
(나) 5.3.1 항의 프로젝트 가이드 작성 및 보고 단계 절차를 참조하여 실시한다.
(7) 시스템 사용권한 변경신청
(가) 시스템의 사용권한이 변경되어야 하는 경우(근무지 이동이나 업무의 변동이 있을 경우) 각 부서의 업무담당은 사용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권한을 우리회사 그룹웨어에서권한 변경신청서를 다운받아 작성하여 전산담당 부서로 신청하여야 한다.
경로 :사내게시판 ☞ 게시판 ☞ 전사게시판 ☞ 자료실
(나) 각 업무별 프로그램 담당은 시스템관리에서 각각의 시스템 사용 권한변경을 해준다.
5.3.3 데이터베이스 관리
(1) 데이터베이스 구축 계획수립
(가) 데이터베이스 관리담당은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전략과 계획을 수립한다.
(나) 데이터베이스 관리담당은 조직 내의 전체 업무 기능간의 자원의 흐름을 분석하여 계획 을 작성한다.
(다) 데이터베이스 관리담당은 자원의 유용성 등을 검토하고 데이터 구조 및 출처, 부서간의 의존 및 관계성 등을 파악한다.
(2)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
(가) 요구사항 분석 및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조직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 항목 및 그들 간의 관계를 정확하게 분석하여 설계 단계에서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로문서화절차서에 따라 문서
화한다.
2)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전체 과정 중에서 가장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며 후 속 설계 작업의 대부분이 분석 작업을 기초로 해서 이루어진다.
3) 요구사항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기법으로는 인터뷰(interview)에 의한 분석, 현재 사용 중인 문서에 의한 분석, 규정집과 참조 문헌(타사 사례)에 의한 분석 등이 있다.
(나) 데이터베이스 관리담당은 다음과 같이 요구사항 분석 및 정의의 순서를 설정한다.
1)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범위를 정한다.
2) 데이터관리의 표준안 및 절차를 수립한다.
3) 사용자 뷰 및 요구 사항을 수집한다.
4) 데이터량과 사용 형태를 조사한다.
5) 운영 요구 사항을 조사한다.
(다) 설계(Design)
1) 조직의 현재 및 미래의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 이 있다.
2) 설계방법의 중요 요구사항으로 다음사항이 있다.
가) 적절한 시간과 노력으로 유용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창출할 수 있어야 한다.
나) 충분한 보편성과 융통성을 가져야 한다.
다) 일반성을 가져야 한다.
3) 설계 정보 요구
가) 데이터베이스 단계적 설계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들을 정의한다.
나) 설계 표현 도구로는 데이터 정의어(DDL)가 있는데 논리적 설계의 최종 산출물을 표현 하는 것으로서 현재는 텍스트 파일로 관리한다. 이 데이터 정의어로 데이터베이스를 생성관리 한다.
4) ERD(E-R 다이어그램) : 요구사항 분석 및 정의 결과와 데이터 정의어의 중간단계 결과를 표현하는 도구로 개체와 개체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데이터 모델을 표현하는 기법으로 개념적 설계와 논리적 설계사이의 교량 역할을 한다.
5) 설계 범위 정의
가) 목표 데이터베이스 응용을 위한 설계 범위는 데이터베이스 계획 과정에서 도출된 기 업정보 모델을 이용하여 그 범위를 결정한다.
나) 예상되는 변화는 설계 범위에 포함시키든지, 또는 앞으로 있을 설계 변경에 반영 하기 위해서 문서화 절차서에 따라 문서화 한다.
(라) 구현(Implementation)
1) 데이터베이스 관리담당은 데이터베이스 테이블 생성 작업을 수행하고 데이터 로딩작업을 지휘한다.
2) 데이터베이스의 물리적 구조를 조정한 후 조정된 데이터베이스 구조의 주요 골격을 사용할 DBMS에 맞추어 프로그램밍하고 테스트한다.
(마) 운영 및 유지 : 데이터베이스가 현재의 데이터들을 사용하면서 계속적으로 갱신해 가는 과정으로 데이터베이스관리 담당은 변화를 예상하고 데이터베이스 성능을 높일 수 있도 록 수정 행위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바) 위의 5단계 이외에 타당성 조사, 설계의 세분화(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설계), 데이터 제작, 문서화 단계 등을 추가할 수 있다.
(사) 현재 각 기간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는 ERP(UVICS) 데이터베이스와 RTE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로 구성 되어있다. ERP 데이터베이스는 주 전산기 IBM P720 시스 템에 정의되어있으며 인사/급여관리, 회계관리, 생산관리, 품질관리, 영업관리 등이 있
다. 그리고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바코드생성관리, 위탁관리, 출고관리 등이 주전산기
HP DL380P시스템에 정의되어 있으며 관리 ․ 유지되고 있다.
3) 데이터베이스의 유지 관리
(가) 데이터베이스 성능 개선
1) 데이터베이스 관리담당은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성능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가) 데이터의 일치성을 보장하고 중복을 최소로 하여 가장 적절한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나) 데이터를 각각의 응용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화하여 저장공간 (디스크)에 저장한다.
2) 데이터베이스 성능 개선 실행
가) 각 업무별 프로그램 담당은 응용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프로그램내의 질의어(SQL) 실행속도 향상과 안정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 테이블의 인덱스를 질의에 맞게 적절히 생성 및 조정해야 한다.
나) 인덱스의 종류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으며 상황에 맞게 인덱스를 설정해야 한다.
① 주 식별자 인덱스(Primary key index)
이는 각 테이블의 자료가 그 테이블의 모든 자료와 구분할 수 있는 유일한 것을 말 하며 절대로 Null 값을 가질수 없는 것이다.
② 부 식별자 인덱스(Alternate key index)
데이타 질의시에 성능 향상을 위하여 지정하는 인덱스로써 조건절(If, Where)에 자 주 나타나거나 순차적 정렬(Sort)을 자주 행하는 속성들을 대상으로 한다.
③ 외부 식별자 인덱스(Foreign key index)
이는 두 테이블간에 관계를 결정해 주는 키로써 주/종 관계의 테이블에서 종속테이 블에 위치하는 주테이블의 주식별자와 같은 인덱스를 말한다.
나) 인덱스의 적절하지 않은 사용은 응용시스템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필요 없는 디스크 공간을 차지할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
3) 데이터베이스 성능 개선의 유지
가) 데이터베이스 담당은 응용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질의어 등을 감시하여 주기적인 성능
개선을 통해 사용자들이 원하는 자료를 즉시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나) 전산기기운영 담당은 주기적인 데이터베이스 백업의 실행으로 화재 등 위험요소가 발 생하더라도 데이터베이스의 안정적인 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나) 데이터베이스 백업 관리
1) 전산기기운영 담당은 각 기간시스템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백업에 대한 일정을 수립하고 다음사항을 검토한다.
가) 백업대상 : ERP 데이터베이스,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를 각각의 주전산기 시스템에서
백업한다.
나) 백업주기
① ERP 데이터베이스 : 유니온db.21번 backup -> dump 매일 (13:00, 23:30) 백업
유니온db.21번 backup -> weekly 월,화,수,목,금,토,일 각1회 백업
유니온db.21번 backup -> month 매월 3일 백업
②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 2회/일(12:00, 24:00)
유니온 바코드서버(112.217.193.171)에서 NAS백업(192.168.10.161) 매일(12:00, 24:00) 백업
③ APP 서버 : 주 1회 ukp10번 서버 있는 소스폴더, 유니온db.21번 backup폴더 -> MY BOOK 외장 하드디스크 백업(녹색)
월1회 ukp10번 서버 있는 소스폴더들 21전산 백업폴더에 백업
주기 | 주 전산기명 | 장비모델명 |
일일 | IBM P720 | NetApp FAS2620A |
HP ProLiant DL380P | QNAP NAS | |
주간 | IBM P720 | 외장HDD |
IBM x3500 | 외장HDD |
라) 백업내역 보관장소
건물의 화재 등 비상사태 발생시 손상을 피하고 안전한 보관을 위해 전산팀원 2명의 외장HDD에 똑같은 파일을 분산 보관한다.
마) 백업매체관리
전산기기운영 담당은 매체의 신뢰성 확보 및 안전한 백업을 위해 백업매체(외장HDD) 를 6개월마다(매년 1월, 7월) 주기적으로 교체한다.
2) 데이터베이스 백업 실행 철차
가) 전산기기운영 담당은 당일 실행될 백업 스케쥴(Schedule)을 확인한다.
나) ERP 데이터베이스는 매일 13:00, 23:30 백업 스케쥴에 의해 자동으로 백업된다.
다) 바코드 데이터베이스는 매일 12:00, 24:00 자동으로 백업된다.
라) 전산기기운영 담당은 아침 출근과 동시에 백업파일을 확인하고 주 1회 외장HDD 로
저장한다, 바코드 데이터베이스 백업의 경우는 백업장비의 용량을 확인하고 여유공간 이 없을 경우 오래된 백업파일부터 삭제하여 여유공간을 확보한다.
3) 백업장비의 상태점검 및 관리
가) 전산기기운영 담당은 매일 백업 스케쥴과 백업파일을 확인하고 이상상태를 발견했을 경우부적합,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절차서에 따라 조치하고, 백업파일에 이상이
발견되면 유지보수업체에 연락하여 신속히 조치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한다.
5.3.4 일괄작업(BATCH JOB) 관리
(1) 일괄작업 등록 및 변경이 필요시 사전에 상위권자의 승인을 득한 후에 작업을 작성한다
(2) 배치작업 모니터링은 분기마다 시행 후 전산팀장의 승인을 득한다. 이때 작업수행 내역을
취합하여 실패내역이 있을 경우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5.3.5 신규투자 관리
(1) 전산팀장은 담당자의 신규투자 타당성 검토 및 투자효과성 분석을 적절하게 수행하였는지
확인하고 이를 승인한다.
(2) 전산팀장은 담당자가 작성한 투자기안서가 적절하게 작성되었는지 검토하고 이를 승인한다.
(3) 프로젝트 진행은 착수보고, 중간보고, 완료보고의 절차를 따르고, 각 단계별로 문서화하여
보관한다
(4) 사용자 테스트는 필요시 계획에 따라 진행하고 그 결과는 문서화하여 전결권자의 승인을
득한다.
(5) 데이터의 이관이 필요한 경우 계획에 따라 진행하고, 그 결과는 문서화하여 전결권자의
승인을 득한다.
(6) 프로젝트 완료시 외주업체로부터 프로젝트 완료보고서 및 검수확인서를 전달받아 검토하여
전결권자에게 보고하고 승인을 득한다
(7) 전산팀 담당자는 현업 담당자들에게 사용자 매뉴얼을 배포한다
6. 기록 관리
6.1 본 지침서에서 발생하는 기록은 기록관리 절차서에 따라 관리한다.
6.2 붙임서식
No. | 서 식 명 | 보유기간(년) | 비 고 |
1 | 화면구성도 | 변경 시 | |
2 | 화면설명서 | 변경 시 | |
3 | 전체 업무 흐름도 | 변경 시 | |
4 | 업무별 업무 흐름도 | 변경 시 | |
5 | 프로그램 일람표 | 변경 시 | |
6 | 테이블 일람표 | 변경 시 | |
7 | 테이블 LAYOUT | 변경 시 | |
8 | 단위테스트 점검표 | 3 | |
9 | 통합테스트 점검표 | 3 | |
10 | 인수테스트 점검표 | 3 | |
11 | 권한변경 신청서 | 1 |
7. 관련 문서
7.1 자원파악 및 관리 절차서
7.2 업무환경관리 절차서
7.3 교육훈련, 인식 및 적격성 절차서
7.4 문서화 절차서
7.5 문서 및 자료관리 절차서
7.6 기록관리 절차서
7.7 설계 및 개발 절차서
7.8 제품, 프로세스의 측정 및 모니터링 절차서
7.9 부적합, 시정조치 및 예방조치 절차서
7.10 운영자 가이드
7.11 사용자 가이드
8. 업무 흐름
8.1 업무전산화 추진 및 운영 흐름
'회사업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 보안관리 일반사용자 (0) | 2022.09.28 |
---|---|
정보 보안관리 시스템 상세 (1) | 2022.09.28 |
[TmaxTibero/기술] DBMS 기술지원 엔지니어 면접 정리 (0) | 2022.09.22 |
2018. 11 ~ 2019. 02(주)세림티에스지 + 2019. 06 ~ 2020. 02 누림소프트(SI) (0) | 2022.08.26 |
Since 2021-10-01 ~ 2022-11-10 (주)한국유니온제약 (0) | 2022.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