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ap이란?
▶ 시스템에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활용하여 계속 작업이 이루어지게 해주는 영역
▶ 하드 디스크의 일부를 RAM처럼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 것
▶ 프로그램들을 많이 실행하여 메모리가 부족하게되면, 메모리 상 적재된 프로그램 중 필요하지 않은 프로그램 데이터를 하드 디스크에 옮겨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는 것
▶ 물리적 메모리의 용량이 가득 차게되면 하드 디스크 공간을 메모리 공간처럼 교환(swap)하여 사용한다.
▶ 하드 드라이브 상에 위치하여 RAM에 접근하는 것보단 접근 속도가 느리다.
▶ swapping(스와핑) - RAM이 부족할 때 하드디스크 공간으로 이용하고, 메모리가 사용 가능해지면 다시 메모리로 옮겨오는 것
* swapping 사용 방식
swap 파티션 방식 : 나누어진 파티션 중 하나를 스와핑 영역으로 사용
swap 파일 방식 :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파일을 스와핑 영역으로 사용
swap관련 명령어
# free [옵션] - 현재 메모리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

# mkswap [옵션] [스왑 파티션] - 스왑 영역을 지정하는 명령어
# swapon [옵션] [스왑 파티션] - 스왑 파티션을 활성화 시키는 명령어
# swapoff [옵션] [스왑 파티션] - 스왑 파티션을 비활성화 시키는 명령어
# dd if=[초기화 시 사용하는 장치 파일명] of=[생성할 파일명] bs=[블록 크기] count=[bs에 지정한 단위로 블록 개수] - 파일 생성
swap을 사용하는 이유
▶ 실제 보유하고 있는 메모리보다 훨씬 많은 양의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 DB 또는 오픈 소스 대용량 처리 어플의 경우 swap을 많이 활용한다.
swap의 장, 단점
장점 : RAM이 가득 찰 경우 보조 공간 제공, RAM보다 빠르진 않지만 하드보다 빠른 속도로 사용 가능
단점 : swap 파티션은 크기를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하드 디스크의 공간을 차지, 항상 성능을 좋게 해주진 않기에 상황에 따라 사용
* swap은 항상 성능을 좋게 해주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한 상황에서 활용하여 효율을 내도록 해야한다.
[출처] [Linux] swap|작성자 96hb
스터디벅스 : 네이버 블로그
클라우드를 공부하는 소프트웨어 전공생입니다.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고 기록하는 블로그입니다. 따라서 내용이 전문적이지 않을 수 있으니 지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앞으로 공부 기록은
blog.naver.com
'Linux > Linux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nux] Cannot bind socket error(포트 이미 사용 중) 해결법 (0) | 2023.03.09 |
---|---|
[Linux] 프로세스 강제 종료, 먹통 일 떄 강제 종료하기 (0) | 2023.03.09 |
[VirtualBox] 가상 하드디스크 용량 조절하기 (0) | 2023.02.07 |
[VirtualBox] 네트워크와 사용법 (0) | 2023.02.02 |
[XShell] 마우스로 복사/붙여넣기 설정법 (0) | 2023.02.02 |